(아주경제 권영은 기자) 인천 경제자유구역 영종하늘도시의 개발 사업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건설사들이 매입한 공동주택지에 대한 무더기 계약 해지 사태가 발생한 데 이어 지난 주 매각에 나섰던 중심상업용지에 대한 청약률이 '제로'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현재 대부분의 토지 보유 건설사들은 토지 대금 납부를 미루면서 시장상황을 관망하고 있다. 토지대금을 완납할 경우 계약을 이행한 것으로 간주, 추후 해약이 어려운 데다 금융권으로 부터 발생한 PF(프로젝트 파이낸싱)자금에 대한 압박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20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사흘간 진행된 영종하늘도시 중심상업용지 15개 필지(2만327㎡)가 전량 유찰됐다. 분양가는 3.3㎡당 평균 1300만원 선. 인근 청라지구(3.3㎡당 1100만원)보다 200만원이 더 높았다.
여기에 지난해 11월에 재매각에 나섰던 공동주택지 4곳도 전량 유찰된 데다 기존 택지 보유업체들도 매각을 고려하고 있어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LH 관계자는 "청라지구의 경우 상업용지 매각이 순조로운 편이지만 영종지구는 청라보다 가격이 비싼 데다 분양시장 침체와 맞물려 매입업체를 찾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유찰된 공동주택지는 (대형사들이 나서지 않아) 경제자유구역 지정 전 토지 원 소유주와 수의계약 형식으로 처리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영종지구의 중심상업용지 전량 유찰의 원인을 주택경기 침체, 고분양가(토지), 가수요 실종, 외자유치 실패 등으로 압축하고 있다.
업계는 영종지구의 중심상업용지 전량 유찰의 원인을 주택경기 침체, 고분양가(토지), 가수요 실종, 외자유치 실패 등으로 압축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영종지구에서 분양에 나섰던 업체들은 분양참패의 쓴 맛을 봤다"며 "H사 등 대형사들의 계약률도 여전히 70%를 밑돌고 있는데 어떤 업체가 쉽게 토지 매입에 나서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따라 분양을 앞둔 업체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KCC건설은 내달 예정된 영종지구 분양 계획을 하반기로 연기했고, 같은 지역에서 분양을 예고했던 성우종합건설도 분양일정을 5월에서 상반기로 수정했다.
분양시장이 여전 침체된데다 영종 하늘도시의 상업 등 편의시설이 제대로 들어서지 않을 경우 아파트 입주 시작 시점에 입주기피 현상이 심화되기 때문이다. 마치 은평 뉴타운이나 판교 신도시가 입주 초기에 기반시설 미비로 입주에 어려움을 겪은 것과 마찬가지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경기가 침체 늪에 빠진 상황에서 대규모 PF, 외자유치 등은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데 외부 자금에 기댈 수밖에 없는 구조인 영종지구와 같은 경제자유구역의 사업이 당장 가시화될 수는 없을 것"이라며 "해당 일대 주택시장도 단기적인 회복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LH는 오는 9월께 유찰된 토지에 대한 재감정에 착수할 계획이다. 규정 상 1년 내 재감정을 할 수 없는 데다 첫 감정이 지난해 9월에 진행된 탓이다.
LH 관계자는 "영종은 향후 미래가치가 풍부한 반면 경기침체와 맞물려 최악의 상황에 직면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환경 교통 입지 등의 모든 측면이 타 지역과 견주어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해결의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ye30901@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