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은 31일 각국 중앙은행이 출구전략 시기를 달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버냉키 의장은 31일 한국은행 창립 60주년 기념 국제 컨퍼런스 개막식에서 영상 메시지를 통해 "경제 회복 초기 단계에서 한은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너무 오래 유지하는 것과 서둘러 출구전략에 나서는 것 가운데 어느 쪽이 더 위험한지 따져봐야 한다"며 "한은도 중기적으로 미 연준이나 다른 나라의 중앙은행처럼 완화적 정책에서 벗어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각국의 경제 여건이 다르므로 출구전략의 적절한 시점도 나라마다 다를 수 있다"며 "각국 중앙은행은 이러한 중요한 결정을 인도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경제 발전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버냉키 의장은 또 "금융개혁은 중앙은행이 직면한 또 하나의 중요 과제"라며 "이번 금융위기의 충격은 선진국에서 발생했지만 충격이 급속히 전파됐고 신흥시장국에서 급격한 자본유출의 형태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그는 "위기 시 발생한 자본유출과 최근의 자본유입 등에 대한 대책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됐다"며 "아울러 국제금융시스템을 강화하고 적절한 금융규제와 금융기관 자본 및 유동성의 적정성 개선 등을 위해 국제협력 확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버냉키 의장은 "각국은 금융 규제에 있어 공동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주요 20개국(G20)의 의장국인 한국의 지도력이 필수적"이라며 ""세계경제의 과제에 대처하는 데 한국과의 협력이 지속될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트리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도 영상 메시지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각국 중앙은행 간 협력은 더욱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지배구조 구축의 일환"이라며 "G20 회의가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뿐 아니라 각국 정상 차원에서 글로벌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는 협의체로 정착되야 한다"고 말했다.
그레고리오 칠레 중앙은행 총재는 기조연설에서 "금융위기의 원인을 고려해 볼 때 중앙은행의 목표로 자산가격 안정과 금융취약성 완화 등을 포괄하는 금융안정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소규모 개방경제는 자산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정책금리를 올릴 경우 자본유입이 확대되고 환율의 평가 절상이 유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앙은행이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통화정책 수단을 사용할 경우 두 목표가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금리 이외의 추가적인 통화정책 수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위기와 같이 경제가 정상적인 상황이 아닌 경우 경제의 기초여건이나 금융충격의 크기에 따라 통화정책 수단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