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4대강 정비사업의 1단계 성과가 내년 10월 가시화될 전망이다. 또 이전지를 결정하지 못한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이전지역이 연내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16일 아주경제와 인터뷰에서 "4대강 사업은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각 구간별로 수정해서라도 사업은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또 "현재 3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는 보(洑) 공사가 내년 여름쯤 완공돼, 10월부터는 물이 채워지고 생태계가 살아나는 모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그때는 국민들도 4대강 사업이 잘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아울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4대강 사업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지난 6·2 지방선거 기간동안 중단했지만, 이제는 반대측 사람들의 이야기를 더 많이 듣고, 설명할 것은 설명하고, 개선할 것은 개선해 나가면서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4대강 사업 대상지역의 지자체장들이 지난 선거를 통해 대거 야당으로 교체됐지만 국가적 프로젝트인 만큼 계획대로 계속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지자체의 의견을 수렴해 구간별로 사업을 수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4대강사업에 크게 반대하는 지역주민은 많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공사가 상당부분 진척된 상황에서 계획을 변경할 경우 예산낭비가 우려된다. 현재 4대강 사업은 전체 공정률이 17.7%, 물 그릇인 보 설치 공사는 36% 진척된 상황이다.
국토부는 7월 우기 이전까지 집중적으로 공사를 시행해 이달말까지 1단계로 준설과 보 공사를 전체적으로 35% 완료할 계획이다. 이어 올 연말까지 핵심공정 60% 이상 공사를 완료하고, 내년 7월 이전 댐과 저수지를 제외한 주요공정 공사를 모두 끝낼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우기를 앞 둔 상황에서 지금 공사를 중단하거나 연기하면 집중호우 등으로 엄청난 피해가 생길 수 있다"며 "진행중인 공사는 차질없이 서둘러야 예산 낭비도 막고 우기도 대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LH의 지방이전 작업은 늦어도 올 연말까지는 그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정 장관은 "전주와 진주 두 지자체의 이해관계가 대립돼 있지만 가능한 좁혀보려 노력 중"이라며 "올 연말까지는 어떻게든 결정이 나야 2012년 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율적 합의가 안되면 정부 직권으로 결정할 수 밖에 없다"고 못박았다.
LH 본사 이전문제는 전북 전주혁도시와 경남 진주혁신도시로 각각 이전 예정이었던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가 합병하면서 서로 본사를 유치하겠다고 나선 두 지자체간에 갈등이 확산돼 왔다.
현재 전북은 나눠서 이전하되 본사 유치를 희망하고 있으며, 경남은 본사 일괄이전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jsy@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