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재송]짜고치는 고스톱


(아주경제 최용선 기자) 지난달 28일 나라장터를 통해 진행된 보훈병원 연간 소요약 1차입찰에서 리피토, 플라빅스, 노바스크 등 대형품목이 1원에 낙찰되는 등 총 39개의 1원짜리 품목들이 쏟아져 나왔다.

이처럼 1원 낙찰 의약품이 공급 될 경우 오는 10월부터 시행되는 시장형 실거래가제도 하에서 타 병원 의약품 공급에 보훈병원 낙찰사례가 악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시장형 실래거제도는 병원과 약국이 상한가보다 싼 가격에 의약품을 구입할 경우 그 차액의 70%를 요양기관 이익으로 돌려주는 제도다.

즉 상한가가 10원인 약을 병원이 1원에 공급받게 되면 약 7원을 요양기관 이익으로 돌려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보훈병원과 같이 1원 낙찰을 원하는 병원들이 늘어나 이들 품목을 대상으로 똑같은 공급가를 원한다면 이번 입찰에 나서지 않은 도매업체는 물론 제약업계까지 힘든 상황을 맞게 된다.

실제로 시장형 실거래가제가 시행되면 인센티브를 노리는 병원들이 1원 낙찰 사례를 들어 지나친 가격 경쟁을 조장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벌써 일부 사립병원들은 몇몇 도매업체에 1원 낙찰 의약품 리스트를 요청한 상태며 제약 및 도매업체들은 보훈병원 1원 낙찰 의약품 납품 제약사 찾기에 나섰다. 병원으로서는 이익을 위해 도매와 제약업계는 더 이상의 1원 낙찰을 막기 위해서다.

하지만 한 번 시작된 일이다. 1원이라는 낙찰가가 나온 이상 이를 원하는 병원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실제로 1원 낙찰은 제약사와 도매업체 간 말이 오가지 않으면 절대 나올 수 없는 현상이다. 말그대로 짜고 친 고스톱이라는 것이다.

업계 소문으로는 이번 입찰 제약사 외에 다른 제약사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납품권을 가져와 달라고 도매상에 주문했다고 한다. 정부의 각종 규제 속에서 어떻게든 제품의 안정적인 루트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고스톱 판에서 짜고 친 이들은 말 그대로 '쪽박'을 차게 된다. 일부 제약사들의 울며 겨자 먹기식 입찰 단행이 전체 제약업계를 위기로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cys4677@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