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남유럽 재정 위기가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에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은행이 국제 금융시장의 추이를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남유럽 재정위기가 출구전략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10일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일부 유럽국가의 재정문제로 인해 국제금융시장이 수시로 불안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문제가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미칠 위험이 잠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총재는 "유로지역 문제가 우리 경제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유로존 경제 위기에도 불구하고 우리 경제의 성장은 예상대로 갈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통화정책을 펴는 데 있어 남유럽 재정위기 추이를 면밀히 살펴보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남유럽 재정위기가 세계 경제를 다시 불황으로 이끌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은 전날 한국은행 보고서와 동일하다.
전문가들은 남유럽 재정위기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중요한 변수로 떠올랐다는 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남유럽 재정위기가 얼마나 큰 변수로 작용할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엇갈리는 모습이다.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금융시장팀장은 "남유럽 재정위기가 전세계적인 성장률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하지만 단기간 내에 해결되는 문제가 아닌 만큼 경제나 금융시장이 이 리스크에 적응해나가는 과정이 진행돼 기준금리 인상 스케쥴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장 팀장은 "우리 정부가 국제공조를 통한 출구전략을 강조하면서 금리 인상 자제를 촉구해왔지만 G7 국가 중 하나인 캐나다가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처럼 통화정책의 국제 공조는 상당히 어려운 문제"라고 덧붙였다.
반면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국내 경기나 실물 변수로만 보면 이미 충분히 금리 인상 여건이 갖춰졌음에도 금통위가 금리 동결을 선택한 것은 국제 금융시장의 불완전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예상대로 3분기에 금리인상이 단행된다는 것은 국제 금융시장이 안전을 되찾는다는 전제를 깔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전 수석연구원은 "현재처럼 환율 등 금융시장의 불안전성이 지속되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3분기에도 금리 인상을 실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