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여야 상생 다짐이 헛구호에 그칠 것이란 관측이다. 여야 원내대표가 일제히 6월 임시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대화와 타협’을 강조했으나 접점을 찾을 지는 여전히 미지수기 때문이다.
18대 후반기 국정운영을 둘러싼 여야간 현격한 이견차 또한 앞으로의 난항을 예고하고 있다.
여당인 한나라당은 지방선거 패배에 따른 자성과 함께 정풍 수준의 여권 쇄신으로 민심을 헤아리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은 지방선거 승리를 발판으로 유능하고 성숙한 대안야당으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내세웠다.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는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앞으로 야당과 끊임없이 대화하고 토론하고 설득하고 타협해서 그 민주적 절차에 승복하는 정치의 기능을 되살리겠다"고 말했다.
특히 "한나라당이 여당이라고 해서 정부의 잘못을 일방적으로 옹호하거나 견제기능을 소홀히 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며 타협의 공간을 넓혔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도 "무조건 반대만 하는 야당이 아니라 민생경제 회복에 초당적으로 협력하고 싸우지 않고 대화로 일하는 국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민생경제를 회복시키는 일이라면 초당적으로 협력하겠다. 무조건 반대만 하는 야당은 되지 않겠다“며 ”싸우지 않고 대화로 일하는 국회를 만들겠다"고 대화로 정치를 풀어가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다만 여야가 풀어야 할 과제가 여전히 많다. 각자의 이해관계에만 매달려 대립하는 구태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큰 것이다.
민주당은 이명박 대통령이 민심을 수용해 국정기조를 전면 수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청와대는 여권 인적쇄신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중도·실용의 국정운용 기조에는 오류가 없다고 판단하는 등 근본적 견해차를 보이고 있다.
4대강 사업과 관련해서도 한나라당은 미세한 조정은 가능하지만 전면 중단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주장이다. 반면 민주당은 전면 중단을 요구하고 있는 것.
하지만 세종시 문제에서는 민주당이 원안을 고수하는 상태에서 한나라당이 선거 후 충청 민심을 고려해 수정안을 밀어붙이지 않겠다는 뜻을 보여 충돌의 여지가 다소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18대 후반기를 시작하며 여야가 내놓은 상생의 다짐이 헛구호가 되지 않으려면 큰 틀의 국정 현안일수록 여야가 대화와 타협의 묘를 살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