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상태 대우조선해양 남상태 사장 (왼쪽)이 네덜란드 현지에서 에드워드 히레마 올씨사 회장(오른쪽)과 약 6억달러 상당의 해양플랜트 설치선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하고 악수하고 있다./대우조선해양 제공 |
(아주경제 이정화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최초로 건조되는 초대형 해양플랜트 설치선을 수주했다.
대우조선해양은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최근 네덜란드의 델프트(Delft)에서 에드워드 히레마(Edward Heerema) 올씨사 (Allseas Group SA) 회장과 약 6억달러 상당의 초대형 해양플랜트 설치선(Platform Installation/Removal & Pipe-lay Vessel) 1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선박은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최초로 건조하는 신개념의 플랫폼 ∙ 파이프 설치선이다.
지금까지 해저 파이프 설치선(Pipe-lay Vessel) 등의 해양구조물 건설선은 건조된 사례가 많았지만, 플랫폼의 상부 구조물(Topside)까지 한 번에 들어올려 운반하고 설치 및 해체를 할 수 있는 선박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이를 위해 이 선박은 4만 8000t 규모의 상부 구조물과 2만 5000t의 자켓(Jacket)을 들어올릴 수 있는 대형 크레인을 탑재하고 있다.
이번 천안함 인양에 투입된 대우조선해양의 3600t급 초대형 해양크레인보다 10배 이상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
자동 위치 제어 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기술과 자체 동력을 이용한 자항 능력도 있어 13노트(약 시속 24km)의 속력으로 운항이 가능하다.
규모 면에서도 세계 최고를 자랑한다. 이 선박은 길이가 382미터 ∙ 폭 117미터, 높이 29미터로 축구장 6개를 합친 넓이와 맞먹는다. 선박 자체 무게만 초대형유조선(VLCC) 무게의 3배인 12만t에 이른다.
대우조선해양은 이 같은 초대형 프로젝트를 위해 길이 530미터 ∙ 폭 131미터 규모의 제1도크 전체를 일정 기간 동안 이 선박 건조에만 사용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런 대규모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도크를 보유한 조선소는 세계에서 대우조선해양이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이 선박은 올씨사 회장의 부친이자 히레마(Heerema)사의 창업주인 히레마(Pieter S Heerema)의 이름을 따서 '피터 쉘테(Pieter Schelte)'라고 명명돼 오는 2013년말 인도될 예정이다.
남상태 사장은 "이 같은 초대형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기술력과 생산시설, 노하우를 가진 곳은 대우조선해양 뿐"이라며, "기존의 노후화된 해양구조물에 대한 해체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앞으로의 추가 수주도 기대된다" 고 말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현재까지 모두 24척 약 24.3억 달러 상당의 선박을 수주했으며 약 340억 달러 상당의 수주잔량을 보유하고 있다.
jhle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