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우윤근 법제사법위원장 |
후반기 국회 법제사법의원장을 맡은 우윤근 의원은 임기 동안 ‘여야 합의 처리 원칙’을 지켜나갈 것을 강조하면서도 민생 현안에 관련해서는 강한 목소리를 냈다.
현재 법사위에 계류 중인 ‘SSM 관련법과 이자제한법, 주택임대차 보험법 등 민생법안이 이번 6월 국회에서 반드시 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 위원장은 세종시 수정안이나 4대강 등의 쟁점법안에 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미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국민들이 심판이 내려졌다”며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정부·여당의 입장 변화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우 위원장은 법제사법위원회가 새롭게 거듭나야 한다는 뜻도 전했다.
그는 “과거 법사위가 여야의 당리당략에 따른 ‘입법 결투장’으로 변모한 적이 많았다”며 “성숙한 법사위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상임위 내에 이견이 있는 법안은 되도록 상임위에서 합의를 이뤄 법사위로 회부하고 △상임위 간 이견이 있는 법안은 국회법상 규정된 ‘연석회의’나 ‘전원위원회’를 열어 합의를 이룰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스폰서 검사 특검에 대한 의견도 빼놓지 않았다.
우 위원장은 여야간 가장 큰 쟁점으로 꼽히는 ‘수사범위’에 대해 “‘공소시효가 지난 부분을 수사대상에서 제외하자’는 의견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법 상식적으로 공소시효가 지났는지 여부는 특검에서 조사해봐야 알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해 수사범위 확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가장 최근 특검인 2007년 ‘BBK’ 때도 대법원장이 추천권을 가졌다”며 스폰서 검사 특검의 추천권을 대법원장에게 줘야한다고 덧붙였다.
우 위원장은 하반기 법사위에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원내대표를 포함해 운영·법사·예산·정보 등 이른바 ‘국회의 빅4 위원장’이 모두 포진된 만큼 이에 대한 다짐도 밝혔다.
그는 “법사위원회가 갈등이 많아 힘들다지만 끝까지 대화와 토론으로 양보하면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여야 법사위원들이 모두 함께하는 ‘워크숍’과 ‘비공식 간담회’ 등을 통해 이해의 폭을 넓히는 기회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maen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