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세종시 수정안 추진을 사실상 포기했다. 다만 4대강 사업의 끈은 놓지 않았다.
이 대통령은 14일 전국에 생중계된 TV∙라디오 연설에서 “(세종시 수정안 추진으로) 국론분열이 지속되고 지역적, 정치적 균열이 심화되는 것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이제 국회에서 결정해줄 것을 요청한다. 관련 법안을 이번 회기에 표결처리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야권은 물론 한나라당내 친박(친박근혜)계도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하고 있다. 수정안 찬성의원 수가 많아야 120여명을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사실상 이 대통령이 수정안을 철회한 것으로 정치권에선 받아들이고 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정권의 명운을 걸고 추진한 4대강 사업에 대해선 ‘의견수렴 후 추진’이라는 전략을 세웠다.
이 대통령은 “4대강 사업에 대해 더 많이 토론하고 더 많은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며 “4대강 수계에 있는 지방자치단체들의 의견도 다시 한번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김두관 경남지사, 안희정 충남지사 등 야권 지자체장들이 4대강 사업 저지투쟁에 나선데 대한 반응이다. 이들 단체장의 반대로 낙동강과 금강의 사업 차질이 우려돼서다.
특히 “정부의 소통과 설득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겸허히 받아들일 것”이라면서도 “4대강 사업은 미래를 위한 투자이지만 먼 훗날이 아니라 바로 몇년 뒤면 그 성과를 볼 수 있는 사업”이라며 추진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인적쇄신과 관련, “청와대와 내각의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개편하는 한편, 그에 맞는 진용도 갖추겠다”고 말했다. 청와대 직제개편은 물론, 40∼50대 초반의 젊은 인재를 영입하는 방안도 마련하겠다는 게 이 대통령의 입장이다.
8월 초 근원적 처방을 마련할 계획인 이 대통령은 지방선거 결과에 대해 “선거를 통해 표출된 민심을 무겁게 받아 들인다”며 “저를 포함해 청와대와 정부 모두가 자기성찰의 바탕 위에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히 변화하도록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는 지금까지 국정 기조에 대해 국민들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통감하고, 향후 민심과의 소통과 교감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