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충현 기자) 정부가 2017년까지 세계 7위의 뇌연구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 올해 연구개발·인프라 구축·인력양성 등의 분야에 635억원의 예산을 투자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0년도 뇌연구촉진 시행계획'이 뇌연구촉진심의회에서 확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시행계획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추진하는 제2차 '뇌연구촉진기본계획'에 따라 교과부, 지경부, 복지부 등 3개 정부부처와 5개 출연연구기관의 투자계획을 종합해 수립됐다.
이번 계획에 따라 정부는 기초 연구지원 확대를 통해 뇌분야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차세대 연구자 발굴을 촉진하고 뇌질환 예방 및 치료와 과학적 원인규명을 위한 다학제 융합연구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 국내 뇌연구 역량을 집적하고 관련 연구를 육성하기 위해 국가 뇌연구 전문기관 설립을 위한 준비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뇌 프론티어 사업의 중점 연구개발 분야에 대해 선택과 집중을 강화해 사업성과를 극대화하고 , 특허 확보 및 기술이전 등 실용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박항식 교과부 기초연구정책관은 "2008년 기준 전 세계 뇌신경계 의료시장 규모는 총 150조원 규모"라며 "미국·영국·일본 등 뇌연구 투자에 적극적인 선진국들과 같이 우리나라도 경쟁력있는 뇌연구 시스템을 조기에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ba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