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국제금융포럼] "亞경제, 자산버블·인플레 경계해야"

(아주경제 신기림 기자) "아시아지역 경제가 세계 경제 회복을 주도하면서 세계 경제에 대한 아시아지역 경제의 기여도가 처음으로 다른 지역을 추월했고 자본유입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아시아 각국은 자산가치 거품현상과 인플레이션 등 유동성 증가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수비르 랄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디렉터는 23일 아주경제신문이 주최한 2010국제금융포럼에서 '유럽발 금융위기와 아시아와 세계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유럽의 공공부문 부채가 늘어나면서 글로벌 경제위기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며 "현재 유럽위기가 현지 금융기관과 미국 금융권으로 전염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랄 디렉터는 금융위기에 따른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유럽의 재정위기로 불거졌다는 일각의 의견에 대해 "현 유럽 재정위기는 대규모 부양책 때문이라기보다는 경기침체에 따른 세수감소 탓"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유럽의 위기가 아시아지역 경제에 미칠 파급력은 미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랄 디렉터는 "유럽 은행에 대한 노출이나 의존도가 낮을 뿐 아니라 아시아권 은행의 자본비용은 크게 높지 않아 아시아지역 경제는 유럽발 위기에 대한 면역력이 높은 상태"라고 말했다.

랄 디렉터는 다만 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산출격차(output gap)가 좁혀지고 있다는 데 우려를 표시했다. 산출격차란 실제 국내총생산(GDP)과 잠재 GDP의 차이를 의미한다. 산출격차가 축소되고 있다는 것은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서 생긴 자산거품으로 인플레이션 압박이 고조되고 있다는 뜻이다.

그는 "많은 아시아지역 국가에서 인플레이션 압박이 나타나고 있다"며 "대규모 자본유입에 따른 부작용인 자산거품과 인플레로 하향 성장의 위험에 빠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랄 디렉터는 아시아지역 경제의 미국 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도 우려했다. 그는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1% 떨어질 때 유럽은 0.3% 하락하는 반면 아시아는 0.6%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금융시장의 안정을 위해 거시적 관점의 경제정책과 규제조치를 도입해야 한다"며 "하향리스크에 대한 요인을 고려하되 가시적으로 하향성장 현상이 현실화될 때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중국의 위안화 절상조치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력에 대한 질문에 랄 디렉터는 "한국은 중국과의 폭넓은 무역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이번 위안화 유연화 정책은 한국 경제와 원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다.

kirimi99@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