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용선 기자) 30~40 직장인 남성들 10명 중 7명은 술과 관련된 거짓말을 한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이스코트 '킹덤은 30~40대 남성 직장인 680명을 대상으로 지난 1일부터 25일까지 '술에 대한 거짓말'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중 74%는 '술자리에서 거짓말을 한 적이 있다'고 밝혔으며 이중 60%는 '잘 마시거나 못 마신다'와 같은 자신의 주량에 대해 속인적이 있는 것으로 답했다. 이어 술자리 동석자(20%), 술자리 장소(15%), 술값(5%) 등의 순으로 거짓말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짓말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날 업무에 지장을 받지 않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61%로 나타나 음주 자체가 다음날 업무수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상사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직장 동료간 경쟁심리 때문'이라는 응답자도 각각 12%씩 응답했다.
더불어 술자리에서 술을 피하는 방법으로는 '한약을 먹고 있거나 병원을 다니고 있다'가 50%, '사람들의 시선이 분산됐을 때 색깔이 비슷한 액체로 교체한다'(15%), '초반에 양주와 맥주를 탄 폭탄주를 마시고 일찌감치 기절한 척 한다'(13%), '집안 대대로 알코올 분해효소가 모자란다고 말한다'(12%) 등 자신의 주량을 속이기 위한 다양한 노하우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이스코트 장병선 상무는 "술자리를 피할 수 없는 직장인의 경우 폭탄주는 약하게 타서 오랜 시간동안 음미하거나 시원한 얼음을 이용해 희석시켜 마시는 방법도 더운 여름날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한편 평균적으로 상대방에게 주량을 말할 때 기준이 되는 주류는 폭탄주(45%)가 가장 많았으며 소주(25%), 양주(20%), 막걸리(10%) 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cys4677@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