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춘 글로벌500기업-54] 도이치포스트-DHL

(아주경제 이정은 기자) 도이치포스트-DHL은 독일 최대 우편ㆍ화물 배송업체다. 전 세계 200여개국 및 지역에 네트워크를 두고 50만명을 채용하고 있다.

2008년까지 18년간 도이치포스트를 이끈 클라우스 줌빈켈은 1995년 적자에 허덕이던 회사를 민영화해 흑자기업으로 탈바꿈시켰다. 그는 2001년 다국적 물류기업 DHL을 인수하며 도이치포스트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변모시키는 데도 공헌했다. 하지만 그는 2008년 2월 개인 탈세 혐의로 불명예 퇴임했다. 

   
 
도이치포스트-DHL 1년간 주가 추이(유로)

줌빈켈 후임으로 최고경영자(CEO)에 오른 프랭크 아펠은 위기에 강한 면모를 보였다. 그는 2008년 금융위기로 미국 내 수요가 급감하자 DHL익스프레스 서비스지점을 폐쇄하고 9500명을 감원하는 등 빠르게 대처했다. 또 손실 규모가 늘어나고 있던 항공 화물운송서비스를 중단하는 동시에 국제운송에 집중, 순익을 늘렸다.

변화무쌍한 아펠의 전략은 지난해 내놓은 '전략2015'에도 반영돼 있다. 도이치포스트가 독일 우편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는 동시에 DHL의 수익성을 끌어올린다는 게 이 전략의 골자다. 그룹 내 모든 부문의 실적을 업계 평균보다 1~2% 더 높인다는 것이 중간 목표로 설정돼 있다.

아펠의 전략 덕분인지 도이치포스트는 지난 1분기 순이익이 17억5000만유로로 지난해 같은 기간 9억4400만유로보다 85% 급증했다. DHL이 주도한 매출 역시 120억유로로 1년 전에 비해 4.4% 늘었다. 아펠은 "1분기 성과는 우리가 미래에 잘 대비하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달성해야 할 목표가 더 남아 있다"며 "'전략2015'를 마무리짓고 회사의 잠재력을 모두 끄집어 내기 위해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이치포스트는 기후변화 문제와 재해ㆍ재난, 교육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도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아펠은 202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30% 줄이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는 '고그린(Go Green)' 프로그램을 내놓기도 했다. 글로벌 물류업계에서 구체적인 탄소배출 목표치를 제시한 것은 도이치포스트가 처음이다.

nvces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