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세종시 수정안이 29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원들의 표결로 부결됐다. 이로써 지난 5개월간 정치권을 들쑤셨던 세종시 수정안은 기록으로만 남게 됐다.
세종시 수정안이 부결되면서 일단 여야 갈등의 핵이었던 사안은 물 밑으로 가라앉았지만 논쟁의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니다.
세종시 수정안으로 인해 한나라당 내 친이(친이명박)계와 친박(친박근혜)계 의원 갈등이 본격화 된 만큼 이를 봉합하는 과정에 진통이 예상된다.
특히 박근혜 전 대표는 이날 5년2개월만에 국회 본회의 발언을 통해 세종시 수정안의 부결에 힘을 보태 수정안에 대한 찬성을 주장한 친이계 의원들에 대한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정부가 앞장서서 세종시 수정안을 들고 나왔던 만큼 박 전 대표가 전면으로 나섬으로써 갈등 해결보다는 심화 쪽에 무게가 실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임동규 한나라당 의원은 국회 본회의에 세종시 수정안의 부의요구 제안 설명서를 제출하고 “허허벌판에 세워진 행정타운은 자족기능은커녕 밤이면 불 꺼진 유령도시가 될 것”이라며 “세종시 문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선거공약으로 잘못된 정책으로 수도분할이자 행정비효율이 불러올 국가경쟁력의 문제”라고 수정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차명진 한나라당 의원 역시 수정안 찬성 토론에 나서 “오늘 수정안이 부결된다면 원안에 대한 심판이 시작된다”며 “정세균, 이회창 대표와 박근혜 전 대표가 지적한 약속 위반에 대한 국민의 심판은 참으로 아팠지만 역사의 심판은 그냥 아픈 정도가 아니라 두고두고 기억될 것”이라고 찬성론에 힘을 보탰다.
그러나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는 세종시 수정안 반대 토론을 통해 “세종시가 부결될 경우 자족성 강화에 대한 문제가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많지만 세종시 원안에 이미 다 들어있다”며 “중요한 것은 세종시 문제를 국가 균형발전으로 연결할 수 있는 실천 의지”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이어 “세종시의 문제는 미래의 문제이고 미래로 가려면 약속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는 신뢰가 있어야 한다”며 “수정안이 우려하는 행정비효율은 신뢰가 깨지는데 따르는 비효율에 비해 훨씬 작다”고 확고한 반대의사를 밝혔다.
또 그는 “(세종시 수정안에 대해)결론이 나면 하고싶은 이야기는 마음속에 묻고 모두가 새로운 미래를 준비해야할 것”이라며 세종시에 대한 더 이상의 논란이 없어야 함을 강조했다.
그럼에도 한나라당의 당내 계파 간 갈등의 골은 쉽게 치유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성헌 한나라당 의원은 이날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세종시 수정안의 본회의 표결이)결국 줄세우기를 통해 대통령이 추진하는 수정안에 대해 누가 반대했는지 눈으로 확인하겠다는 것으로 오해될 수 있다”고 말해 당내 계파 간 갈등 심화를 우려했다.
더구나 오는 7월14일로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의원들 모두 친이 또는 친박을 앞세우고 있어 당권을 둘러싼 계파 간 갈등이 깊어질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세종시 부결로 갈등의 골이 깊어질 가능성을 안게 된 한나라당의 미래는 내달 14일 전대 결과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maen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