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가 6일 국무회의에서 밝힌 '2010년 하반기 에너지 절약대책'에 따르면 빠른 경기회복세와 지난 겨울의 이상저온으로 인해 올해 에너지 소비가 당초 전망치인 4.6%에서 7%로 상향 조정됐다. 7% 증가는 11년 만에 처음이다.
특히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가 8.7% 증가할 예정이다. 이른 여름더위 등 이상기온으로 건물부문 전력 소비도 6.3%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원 중에서는 올해 석유의 소비증가율이 1.8%로 둔화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도시가스와 전력의 수요가 각각 10.2%, 8.7%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올 하절기 최대 전력수요 시간대(피크타임)의 예비전력은 460만㎾(예비율 6.5%)까지 떨어질 것으로 지경부는 예상했다.
최대 전력수요는 냉방 수요의 급증(17.5%)으로 지난해보다 11.8% 증가한 7070만㎾에 달하겠지만 공급 능력은 3.7% 늘어난 7530만㎾에 그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수요조정제도 등을 시행하지 않으면 예비전력이 최악의 경우 200만㎾(경계단계)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지경부는 지적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140만㎾급 원자력발전소 한 곳만 고장이 나도 비상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에 대비해 단계적 공장 가동 중단과 같은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 지경부는 여름철 냉방수요 분산이 가능한 원격관리시스템, 축냉기기 등 부하관리기기를 보급하고, 가스냉방기기 설치비 지원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최근 수요가 늘어난 전기히트펌프(EHP)의 경우 건축연면적 3000㎡ 이상의 공공건물에 자동제어장치를 설치하고 발광다이오드(LED) 등 고효율기기를 보급할 계획이다.
정부가 마련한 비상전력 수급대책에 따르면 400만㎾ 이하로 떨어지면 1단계(관심단계)로 대응체계에 대한 홍보 및 대비, 장관의 대국민 담화 등이 이뤄진다.
300만㎾ 이하(주의단계)는 실내온도를 강제적으로 제한하고, 200만㎾ 이하는(경계단계) 승강기 등을 정지시킨다.
최하 100만㎾(심각단계)는 전력이 끊기더라도 피해가 적은 부문부터 영업제한 등을 통해 전력 사용을 줄인다. 승용차의 5부제도 강제적으로 시행된다. 이 단계가 되면 산업용 전력도 우선순위(산업피해가 적은 곳)에 따라 공장설비 등을 거의 차단한다.
uses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