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존 주요 사업 분야인 PC온라인 게임의 틀에서 벗어나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소셜게임 및 새로운 게임 플랫폼 확보를 통해 제2의 도약을 한다는 전략이다.
또 CJ엔터테인먼트의 영화, 엠넷미디어의 음악, CJ미디어의 방송 등 CJ 그룹의 다른 콘텐츠사업과 연계해 시너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남궁훈 CJ인터넷 대표(사진)는 창립 10주년을 맞아 15일 상암동 CJ E&M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은 전략을 발표했다.
그는 “CJ인터넷의 게임사업이 CJ그룹의 신성장동력인 문화콘텐츠사업의 핵심 분야로서 그룹의 장기적인 지원 및 육성이 있을 것”이라며 최근 업계에 떠돈 매각설 등을 일축했다.
이 날 발표된 CJ인터넷의 구체적인 전략은 △소셜게임의 경쟁력 확보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신규 플랫폼 도입 등이다.
CJ인터넷은 우선 소셜게임에 100억원의 투자를 진행할 방침이다.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활성화에 힘입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소셜네트워크게임(SNG)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고 이 시장을 선점한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 개발사 설립과 인수합병(M&A)을 통해 자체 개발력을 강화하는 한편, 해외 유명 IP를 퍼블리싱해 소셜게임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지난해 말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대표 교체와 조직 개편 등으로 실행에 옮기지 못했던 해외 시장 공략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CJ그룹이 가진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이미 지난 달 일본에 진출한 'SD건담'이 동시접속자 1만2000명을 기록하고 월 20억원 매출을 올리며 쾌조의 출발을 보이고 있다.
하반기에는 ‘대항해시대’의 북미 및 유럽시장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CJ그룹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매우 효과적으로 글로벌 시장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검증된 웹보드 게임의 해외 수출도 진행할 계획이다.
단순한 웹보드보다 각 국가의 고유 놀이문화를 웹보드 게임으로 개발해 국내 서비스 노하우를 결합, 신시장을 개척한다는 전략이다.
이와 함께 신규 서비스 플랫폼인 ‘마블박스’ 운영을 안정화 시키고 ‘마블스테이션’을 통해 게임 패러다임의 변화도 적극 주도할 계획이다. 게임 전용 런처(Launcher)인 ‘마블스테이션’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8월에 출시된다.
이같은 신규 플랫폼은 사용자들이 보다 게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해 유저 유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남궁 대표는 “CJ인터넷은 CJ 문화 산업그룹 간 다양한 시너지를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제2의 도약기를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
diony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