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안전망 구축위해 2500억弗 재원 더 늘릴 것"

(아주경제 이정은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금융위기를 막기 위한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빠르면 11월까지 7500억달러의 재원을 1조달러로 늘릴 계획이다.

18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IMF는 조건부융자패키지에 따른 문제를 단독으로 대처하는 것 대신, 각국에 적합한 금액을 미리 모으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전했다. 특정 국가가 급박한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을 때 시장 긴장상태를 완화하기 위해서다.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당장 위기 상황이 아니더라도 위기시 개입하기 위한 재원을 보유하는 것이 위기를 예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비록 (우리의) 금융위기를 다루는 역할이 축소되고 있다할지라도, 그 말이 우리가 '거대 화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며 "1조달러 자금은 적절한 예상치일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G20 의장국인 한국은 이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다가올 11월 G20회의에서 주요 20개 국가들에게 IMF의 재원을 늘리는 데 힘써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런던에서 열렸던 G20회의는 IMF의 대출자원은 2500억달러에서 세 배인 7500억달러로 늘렸다.

미 정부관계자는 미국 정부가 IMF의 안전망 개선 촉구에는 동조하고 있으나 한국과 IMF가 좀더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해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 경제학자들은 이 안을 전폭 지지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한국은 2008년 환율과 주식시장이 요동치던 쓰라린 경험을 겪었기 때문이다. 당시 한국 정부는 탄탄한 경제기반에도 불구하고 미국, 일본, 중국과의 스와프로 인한 유동성 부족으로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신현송 대통령 국제경제보좌관은 "이같은 상황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시장은 IMF의 지원과 같은 미리 준비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이같은 자금이 우리가 2008년 리만 사태 때 보았던 유동성 소용돌이를 완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논의되고 있는 "글로벌 재정안정 매커니즘"이 각국의 위험을 중단시킬 것이라고 주장하며 "플래티넘이나 골드카드 사용자처럼 위험이 적은 상태를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멕시코, 폴란드, 컬럼비아 등이 IMF의 자금 지원을 받았듯, 유연한 대출한도 등으로 인해 쉽게 빌려 쓸 수 있을 예정이다. 또 위기가 닥치기 전에 지급할 것이고 아무 조건도 기본적으로 달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신 보좌관은 안전망으로 인해 더 위험이 큰 국가들의 모럴헤저드를 피하기 위해서 여전히 강력한 제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에스와 프레세드 코넬대 교수이자 전 IMF 중국지역 본부장은 새로운 대출안이 단순히 문제를 "여기에서 저기로" 옮기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고 의심하며, 이 안이 신흥시장국들이 IMF의 대출금을 믿고 자국의 '예방 비축금'을 줄일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nvces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