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올 들어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경제가 살아나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자금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정부가 금융위기 이후 제공해 온 중소기업 지원책을 축소하는 데 있어 속도 조절을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5일 금융당국 및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1.09%까지 하락했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지난 5월 말 1.88%까지 치솟았다. 6개월 만에 2배 가까이 오른 셈이다.
지난 3월 말 1.57%, 4월 말 1.70% 등으로 상승세가 완연하다.
연체율 변동 추이가 심상치 않다는 우려에 대해 당국은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은행권이 분기말 실적 발표를 앞두고 부실채권 상각에 나섰기 때문에 6월 말 연체율은 다소 낮아질 것"이라며 "정확한 수치는 다음주 중순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 통화금융팀 관계자는 "올 들어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면서도 "본격적인 상승세로 접어들었는지 여부는 6~7월 말 연체율을 봐야 판단할 수 있다"며 말을 아꼈다.
그러나 주요 은행들은 이미 대출 부실화를 우려하고 있다. 특히 우리은행의 상황이 심각하다.
3월 말 현재 우리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1.45%로 지난해 말보다 0.52%포인트 급등했다. 같은 기간 연체 잔액도 4000억원 증가했다.
신한은행은 0.66%에서 1.00%로 0.34%포인트 올랐고, 국민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도 0.56%에서 1.12%로 0.56%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19일 2분기 실적을 발표한 하나은행은 4~6월 중 중소기업 대출 연체 잔액이 361억원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 대출이 부실화할 경우 은행권은 물론 국민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지원책을 축소하는 데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홍순영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기업은 수출호조에 힘입어 위기를 극복하고 있지만 중소기업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여전히 싸늘하다"며 "하반기 중소기업 자금 사정이 더 악화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중소기업에 대한 긴급 지원책을 급작스럽게 철회할 경우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며 "업계 사정을 헤아려 속도 조절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병기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소기업 대출이 부실화하면 은행도 악성 채무로 인해 수익성 및 재무 건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연체율 상승이 기업 부실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gggtttppp@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