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영욱 기자) 7.28 재보선 직후로 예상됐던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의 회동이 내달 중순이후로 미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두 사람의 회동준비는 청와대 정진석 정무수석과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격 유정복 의원이 채널을 구축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아직까지는 가시적인 추진동향이 포착된 것은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한 친박(친 박근혜)계의 핵심 의원은 "이번엔 의제 선정을 잘해 회동해야 하기 때문에 대략 8월 중순경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다른 의원도 "양쪽이 전화통화를 한 것 같은 느낌은 있다"면서도 "이번에는 의제 선정을 잘해서 회동해야 하기 때문에 8월 중순쯤이 되지 않나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도 "중요한 것은 만남 그 자체가 아니라 만남을 통해 상호 신뢰를 쌓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의미 있는 만남을 위해 약간의 준비 기간을 두고 있다고 이해해 달라" 밝혔다.
이는 앞서 대통령과 박 전 대표의 회동이 5차례 이뤄졌지만 그 때마다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불편한 관계만 만들었다는 점에서 충분한 사전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더욱이 양측이 섣불리 7.28 재보선 일정에 맞춰 회동을 서두르면 '선거용'이란 오해를 살 수 있어 일단 선거이전 회동은 사실상 물 건너간 것으로 보이며, 정치권 일각에선 당장 내달로 예정된 개각시기를 감안해 회동시기가 자연스레 미뤄질 것이란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이 대통령이 내달 8월25일 정확히 집권 반환점을 돌기 때문에 이 시기에 회동이 이뤄지면 당의 양대 주주가 화합하는 모습으로 깔끔하게 하반기 국정운영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 감안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일각에선 상호 신뢰회복을 위한 카드로 내각과 당직에 친박인사의 중용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 청와대는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정진석 정무수석을 중심으로 이를 포함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간 신뢰구축을 위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박 전 대표측 역시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의제를 제안키 어려운 만큼 청와대의 제안 검토이후 몇 가지를 포함시키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높아 앞으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의 회동은 지난 6.2 지방선거 패배로 비상체제를 마무리한 한나라당 안상수 신임대표가 취임한 직후인 지난 16-17일 양일간 청와대와 박 전 대표측을 각각 접촉한 뒤 입장을 전해 여권 내부화합을 위한 긍정적 기대를 모으고 있다.
kyw@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