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광효 기자) 정부가 경제정책 기조를 친기업에서 친중소기업ㆍ서민으로 급선회하고 있는 가운데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기회복의 혜택을 모든 계층이 골고루 누릴 수 있도록 하자"고 말했다.
윤 장관은 28일 정부과천청사에서 개최된 제23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대기업이 견인하고 있는 경기회복의 혜택을 모든 계층이 골고루 누릴 수 있도록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서 제시한 서민생활 개선, 대ㆍ중소기업 거래질서 개선 등 상생협력 과제를 차질 없이 수행하자"고 당부했다.
그는 이어 "서민 체감경기 개선을 위한 정책 추진에 전 부처의 역량을 모아 소득격차를 완화하고 사회안전망을 구축해 나가자"고 말했다.
윤 장관은 또 "지표경기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아직 저소득층ㆍ중소기업 등 서민 체감경기 개선은 충분치 못한 상황"이라며 "비록 금융위기시 악화됐던 소득불평등도가 최근 위기 이전 수준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 빈곤층 증가, 중산층 정체 등의 문제는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수출 대기업의 호조에 비해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등 서민경제의 회복이 상대적으로 부진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대기업의 역할에 대해 윤 장관은 순기능을 강조하기도 했다.
윤 장관은 "치열한 국제 시장에서 대기업이 선전함으로써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은 대기업의 큰 역할"이라며 "대기업이 견인하는 경기회복의 혜택을 모든 계층이 골고루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반기 경제정책 운용방향에서 제시한 대ㆍ중소기업 간 거래질서 확립을 통한 상생방안과 서민경제 회복 등을 차질없이 수행하는 게 정부의 과제"라면서 "체감경기 개선을 위한 정책 추진에 전 부처의 역량을 모아 소득격차를 해소하고 구조적인 사회안전망을 확충해야 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회의 안건으로 상정된 '위기 이후 신산업 발전을 위한 산업융합촉진전략'에 관해서는 "정보기술(IT) 융합전략 등 부문별 논의가 있었으나 이제는 산업 전반의 거시적 융합전략 논의가 필요하다"며 "기존 틀에 얽매이지 않는 열린 마음과 유연성을 가지고 접근하자"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근로시간 면제(타임오프)제도' 시행과 관련해서는 "대형 사업장의 원만한 타결 등 전반적으로 제도 정착의 분위기가 확산돼 다행스럽지만 한도를 초과한 일부 사업장에 대해 엄정 대처가 필요하다"며 "범정부적 협력을 통해 제도가 조기에 순조롭게 정착되도록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leekhy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