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정부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우리금융의 새 주인 찾기가 본격화됐다.
현재로서는 하나금융지주가 가장 유력한 인수 후보로 꼽히고 있으며, KB금융지주도 잠재적인 인수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30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전체회의를 통해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의결한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이란 대형 매물이 누구 품에 안길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금융 인수에는 하나금융이 가장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나금융의 총자산이 196조원에 불과해 자산 300조원이 넘는 KB금융과 신한금융지주 등과 대결하기 위해서는 대형금융지주사 인수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김승유 하나금융 회장도 지난해부터 우리금융 등 금융회사 인수 의지를 공공연히 밝혀왔다.
하나금융은 우리금융을 인수·합병(M&A) 대상 1순위로 잡고 있으며, 외환은행을 차순위로 두고 있다.
현재 하나금융은 주식 맞교환을 통한 합병안을 선호하고 있다. 인수 주체인 하나금융이 인수 대상인 우리금융보다 규모가 작아 자금부담을 줄이기 위한 복안이다.
하나금융으로서는 우리금융의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우리금융 지분 56.97% 중 일부를 국민연금 등에 매각하고 나머지 20~30%를 다른 지주사와 합병을 추진하는 시나리오가 최적이다.
하지만 아직은 우리금융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기관이 적어 경쟁구도가 성립되지 않아 정부가 하나금융의 손을 들어주기 어려울 전망이다.
KB금융의 우리금융 인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어윤대 KB금융 회장이 취임과 함께 당분간 M&A을 자제하고 KB금융의 체질 개선에 주력하겠다고 밝힌 만큼 KB금융이 단기간에 우리금융 인수에 나서지는 않을 거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다만 은행 비중이 90%가 넘어 사업 다각화에 나서야 하는 KB금융으로서는 우리금융은 매력적인 매물인 게 사실이다.
우리금융은 우리투자증권·우리F&I 등 비은행 계열사와 함께 팔린다. KB금융이 비은행 계열사를 인수하기 위해서는 우리금융과 합병을 택할 수밖에 없다.
한편 우리금융 계열사인 경남·광주은행이 분할 매각될 예정이라 지방은행들도 인수전에 뛰어들 태세다.
부산은행과 대구은행은 경남은행 인수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광주·전남지역의 상공회의소들은 광주은행 인수를 오래전부터 준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