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손고운 기자) 국내 보험시장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출산율 하락은 보험사에 있어 시장 축소를 의미한다.
새로운 수익원 창출이 시급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총체적인 위기 국면이다.
전문가들은 보험사들이 그 동안의 시장 내 경쟁구도에서 벗어나 시장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 고령화 진전, 위기이자 기회
보험산업이 현재의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영역 발굴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수명 연장으로 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 고령자 보험 시장 개발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그 동안 고연령자는 상해, 질병, 사망의 위험이 저연령층에 비해 높아 보험사의 주요 고객층에서 제외돼 왔다.
때문에 고연령층을 위한 전문적인 보장보험을 찾아보기 어려웠고, 기존 건강보험에 가입하더라도 상해나 질병 보장은 최소한으로 한정돼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몇 년 전부터 중소형보험사들이 고연령층을 타깃으로 한 이른바 ‘실버보험’을 판매하고 있지만, 이 또한 보험금 지급 기준이 까다로운 몇 개의 보장항목을 제외하면 주로 장례비용 수준의 사망보험금을 지급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연령자를 위한 특화상품 개발을 통해 시장을 개척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일부 보험사들이 장기간병(LTC)보험 등 고령화 시대에 예상되는 위험에 대비하는 상품을 속속 출시하고 있다.
◆ 은퇴·노후대비 상품 다각화 필요
은퇴·노후 시장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령층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측면이 있다. '풍요로운 노후'를 위한 경제적 대비를 하는 것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보험은 물론 은행·증권 등 금융권 전체가 은퇴자금 유치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동안 보험사들의 은퇴·노후대비 상품은 주로 연금이나 저축성 상품에 편중됐었다.
김경희 보험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미국과 일본 등 해외 선진국의 보험사들도 우리나라와 비슷한 과정을 거쳐왔다"며 "국내 보험사들도 점차 다양해지는 소비자들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투자상품으로 자동 연계되는 연금상품 등 새로운 상품 개발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gwoo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