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농림수산식품부는 주요 품목별로 생산에서 유통까지 가치사슬(value chain) 분석을 기초로 '품목별 비용절감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15일 밝혔다.
생산단계 비료·농약 등 농자재의 낭비요인을 제거하고, 산지 조직화·규모화를 통해 산지 출하단계 공동선별·공동출하를 활성화해 오는 2014년까지 최대 30% 비용을 절감, 농가소득 향상으로 연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쌀의 경우 들녘별 규모화 사업을 기존 30곳에서 200곳으로 확대, 농기계공동이용률 제고, RPC 통합 및 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2014년까지 각 단계별로 10%의 비용을 절감할 방침이다.
노지채소는 내병성 품종 등 저비용 투입형 품종 개발 확대 및 고추 비가림재배·마늘 주아재배 비용절감형 농법을 확산을 통해 20%까지 절감. 시설채소는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 확대와 내병성 고품질 신품종 개발·보급을 통해 30%의 비용절감을 이룬다는 계획이다.
과수의 경우 사과 밀식재배·노지감귤 간벌 등 비용절감형 농법 및 생산시설현대화를 확산하고 거점 APC 확충 및 효율성 제고로 20%를 절감. 축산부문은 소 출하시기 3개월 단축, 돼지 써코백신 접종으로 MSY(시장출하두수; 15.2두 → 22두) 향상 및 유통단계 일원화로 30%까지 비용을 낮출 계획이다. 특작부문은 신품종 개발·보급, 재배기법 전환 및 생산시설 현대화를 통해 20%까지 절감할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품목별 비용절감 종합대책과 주요 정책사업을 연계 추진함으로써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 나아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2005년이후 지속적인 농업소득 정체의 주 요인이 농업경영비 증가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농식품부는 올해 초 민·관 합동으로 '비용절감운동본부'를 설립하고 지역별 우수 경영체 리더를 경영혁신단으로 선정해 비용절감 운동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번에 마련된 품목별 비용절감 종합대책도 학계, 농업인 등 전문가로 구성된 '비용절감운동본부'위원회 심의를 거쳐 마련된 것.
uses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