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정부가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 물량 탄력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17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국토부가 오는 10월 지구계획이 확정되는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 사전예약과 관련해 대상 물량을 1, 2차 때보다 줄이는 방안 검토에 들어갔다. 이미 LH가 3차 사전예약을 앞두고 지구별 수요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가 검토하고 있는 부분은 수도권 미분양 증가추세를 감안해 올해 하반기 나올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 물량을 줄이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는 오는 10월께 진행할 서울 항동, 인천 구월, 광명 시흥, 하남 감일, 성남 고등지구 등 3차 5곳의 사전예약 물량을 1, 2차 때보다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더구나 성남 고등지구의 경우 성남시가 자체 개발을 요구, 지난 6월 중순 실시해야 할 환경영향 평가 공람공고가 이뤄지지 않아 지구계획 등 후속 작업이 중단됐다. 현재로선 고등지구의 사전예약 여부조차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충재 공공주택건설추진 단장은 이와 관련해 "3차 보금자리주택 지구계획이 확정되지 않아 아직 어떤 결론도 나오지 않았다"며 "다만 사전예약은 분양이 아니어서 공급 물량을 조절한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분은 분양물량의 80% 이하에서 정할 수 있게 돼 있다. 지난해 10월과 올해 5월 실시한 시범지구와 2차 사전예약에서는 설계가 덜 끝난 일부 블록 등을 제외하고 일반 분양아파트 기준(임대 제외)으로 각각 분양물량의 70%와 73%가 사전예약으로 배정됐다.
하지만 업계와 시장에서는 주택경기 침체로 국토부가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 사전예약 미달을 우려해 물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차 보금자리주택지구에 대한 사전예약에서는 미달 물량이 많았다. 남양주 진건, 부천 옥길, 시흥 은계 등 경기권 3개 지구에선 사전예약 물량의 20%가 넘는 1333가구가 미달됐다.
또 계속 증가하고 있는 수도권 미분양 물량, 건설업계의 보금자리주택 사업 속도조절 요구 등도 이번 검토를 진행하게 된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jsy@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