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골프는 나와의 싸움이기도 하지만 결국 자연과의 싸움입니다.
예전에 저에게 골프를 가르치던 선생님은 “자연을 이기려고 하지 말고, 그냥 흐름대로 맞춰 쳐야 실수가 안 나온다” 라고 강조했습니다.
대부분의 골퍼들은 앞바람이 불면 한두 클럽을 길게 잡습니다. 하지만 실전에서는 바람을 의식해 힘껏 치려는 샷이 나오게 되지요. (경험이 많으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힘으로만 치다보니 두껍게 맞거나 임팩트에만 힘이 들어가(팔로우 스루가 짧으면 구질이 뜬다) 하이(high)볼이 나옵니다. 앞바람인데…멀리 보내려다가 괜히 바람만 태우게 되는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슷한 얘기로 오르막 라이일 때도 마찬가지로 한두 클럽을 길게 잡습니다. 물론 탄도를 조절 할 수만 있다면 상관이 없겠지만 (누구나 위의 두 가지 상황일 땐 탄도를 낮추고 싶어 할 것이다) 체중이 자연스럽게 오른발 쪽으로 실리다보니 공을 걷어 치는 샷이 나오게 됩니다. 이럴 때에도 하이볼이 나와서 거리 손해를 많이 보던지 아니면 공이 왼편으로 많이 가게 됩니다.(상체의 턴으로만 스윙해야 하는데, 팔로만 치게 되는 상황으로 당겨지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평지에서는 낮은 구질과 높은 구질을 나름대로 잘 구사한다는 사람들도 앞바람이나 오르막 같은 자연과의 싸움에선 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르막에선 볼이 뜨기 쉽습니다. 그래서 한두 클럽 길게 잡지요. 그렇다면 그 상황에서 친 거리가 본인의 거리는 아니지 않습니까?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는 아닙니다. 내리막에서도 눈에 보이는 거리는 길어 보이나 한두 클럽 짧게 잡아야 합니다. 골프채가 생긴 것이 그렇습니다. 로프트 각도가 자연히 세워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탄도가 낮아지므로 결국 클럽을 제 거리의 클럽보다 짧게 잡아야 합니다.
오르막에서는 그 반대의 원리입니다. 앞바람은 구질을 낮게 쳐야 유리하고 뒤바람일 때는 구질을 띄워야 유리하지요. 이 정도는 다들 알고 있겠지만 막상 공을 칠때에는 바람을 이기려고 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것입니다. 내 거리에 대한 확신이 있다면 그리고 클럽의 특성을 제대로 알고 지형과 바람을 이용할 수 있다면 골프의 묘미는 한층 더 놓아질 것입니다.
이제는 좀 골프를 즐기면서 칩시다!^^
권오연 멘탈골프 클리닉 & 아카데미 (www.mentalgolfclinic.co.kr)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