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권영은 기자) 서울 시내버스의 요금 동결과 유류비 인상 등으로 지난해 버스 업계의 운송 적자와 시의 재정 지원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내버스 운송 적자는 2007년 1703억원, 2008년 2056억원에 이어 지난해 2692억원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4년 준공영제 도입 이후 시내버스 운영상황이 집계된 이래 최대치다. 연도별 적자 증가율은 2008년 20.7%에서 지난해에는 30.9%로 급증했다.
이에 따라 시가 버스 업계에 지원하는 재정 규모도 2007년 1636억원에서 2008년 1894억원으로 15.8%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에는 2900억원으로 53.1% 증가했다.
더욱이 올해에는 시내버스 수입이 1조1024억원, 비용은 1조4167억원으로 운송 적자가 3143억원에 달하고, 여기에 작년 지원하지 못해 이월된 582억원까지 합치면 시가 지원할 금액이 3725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는 이 중 내년에 확정 집행할 470억원을 제외하고 자구노력을 통해 90억원의 비용을 줄일 계획이지만 올해 편성된 예산이 1900억원 뿐이어서 나머지 1625억원을 추경 등을 통해 충당해야 할 형편이다.
이처럼 시내버스 운송 적자가 커지는 것은 서울시가 시민 부담 경감 차원에서 요금 인상을 자제해 수입이 제자리 수준인 반면 유류비와 물가 등 운송비용은 계속 늘어나는 데 따른 것이다.
서울 시내버스 요금은 준공영제가 도입된 2004년 7월 700원에서 800원으로 오른 뒤 2007년 4월 800원에서 900원으로 한 차례 인상됐을뿐이다.
2년마다 100원씩 대중교통 요금을 올리기로 한 시의 중기재정계획에 따르면 올해까지 세차례 요금이 인상돼야 했지만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지연됐다.
여기에 교통수단 간의 환승 때 요금을 깎아주는 통합환승할인제에 따라 실제 버스 승객 1인당 평균 운임은 655원으로 기본요금 900원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
이는 시내버스 승객 1인당 운송원가 812원의 80.7%에 불과해 승객 1명을 태울 때마다 157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셈이다.
kye30901@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