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P 경영노트] 지놈분석 산업에 주목하라

(아주경제 김지성 기자) “지놈(Genome)분석 유관 산업이 뜬다”. 삼성경제연구소 최진영 수석연구원은 최근 ‘개인 유전자 해독시대의 패러다임 변화와 신사업 기회’라는 리포트를 통해 지놈분석 유관 산업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는 개인 지놈 분석비용이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으로 현실화될 것이란 전망 속에서 나왔다. 가격 부담이 적어지면 유전자의 특성을 알기 위한 지놈 분석이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예상한 것.

특히 2015년 이후에는 병원진료뿐만 아니라 유아출생, 건강검진 시에도 지놈 분석이 필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놈이란 한 생물이 가지고 있는 모든 유전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부 바이러스를 제외한 모든 생물의 유전정보는 디옥시리보 핵산(DNA)으로 구성된다.

최진영 연구원은 “삼성SDS가 현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문제는 지놈분석을 위한 데이터의 확보인데,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연구원에 따르면 1990년 30억 달러에 달했던 인간 지놈 분석비용이 NT(Nano Technology)와 IT의 발달로 인해 2014년경 100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인용 PC가 슈퍼컴퓨터 대신 지놈 분석을 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또 지놈 분석에 나노분석기술을 적용해 한 명당 유전자 해독에 필요한 시간이 25년 만에 15년에서 불과 4시간으로 획기적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개인 지놈 분석으로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을 질병 발병 후 증세완화(Cure)에서 발병 전 관리(Care) 개념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질병치유가 가능한 맞춤형 치료제 사용으로 의료비 절감(Customize) △유전자 검사로 각종 질환의 발병을 예측하고 예방(Evaluate)할 수 있는 혜택 등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나아가 맞춤의학 활성화, 기존 제약산업의 구조조정, 개인 맞춤형 식품과 소재 개발 촉진, 예방 진단산업의 발달 등 관련 산업의 변화도 점쳐졌다.

한편 개인 지놈 분석을 매개로 질병 예측 서비스, 유전자 치료제 사업 등과 같은 새로운 사업 기회가 발생하면서 헬스케어 산업이 변화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IT, 식품, 건축, 자동차 등 다른 분야의 산업도 지놈 분석으로 인한 다양한 사업 기회가 발생할 것이라는 게 최 연구원의 진단이다.

최 연구원은 “현재 지놈분석시대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미국, 영국, 중국 간에 지놈정보 확보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며 “한국은 지놈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유전자 데이터 분석역량과 유전자 조절기술 등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도록 민관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lazyhand@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