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15~29세)의 고용 지표가 최근 14년 동안 꾸준히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분석해보니 청년 취업자가 2000년을 제외하고 1990년대 중반 이후 감소 추세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27일 밝혔다.
청년 고용률은 1995년 46.4%에서 지난해 40.5%까지 하락했으며 특히 지난해 고용률은 외환 위기 때인 1998년의 40.6%보다 낮았다.
이는 1982년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가 작성된 이후 최저치였다.
장기적인 청년층 고용 악화는 고졸 이하자, 25세 미만자, 남성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이하의 고용률은 1999년 36.8%에서 지난해 22.5%로 하락했으며, 1995년 34.6%였던 25~29세 고용률도 작년에 22.9%로 낮아졌다.
여성 고용률은 1999년 37.5%에서 지난해 41.8%로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남성 고용률은 44%에서 39%로 떨어졌다.
고용부는 청년층이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 감소, 청년층 감소를 포함한 인구구성 변화, 고학력화 진전 등에 따른 노동의 수요와 공급 불일치 때문에 장기적인 청년층 고용부진 현상이 나타난 것이라고 진단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노동 수요 측면에서 봤을 때는 고학력자에게 맞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고, 공급 측면에서는 대학 구조조정, 산업 수요에 맞는 능력개발 강화 등을 통해 부문별 과소 및 초과 공급을 없앨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직업진로 지도 및 취업지원 강화 등을 통해 단기적인 인력수급 불일치 현상도 없애야 한다"고 덧붙였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