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LG그룹 계열사들이 협력업체들을 단순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다. 이들 협력사들이 스스로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하겠다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LG 관계자는 “이번에 새롭게 마련한 상생협력 방안은 일시적, 단발성 지원이 아닌, 장기적, 지속적, 실질적인 관점에서 협력회사가 근본적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생협력을 강화키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LG의 ‘상생협력 5대 전략과제’는 △협력회사와 중장기 신사업 발굴 등 그린 파트너십 강화 △자금지원 및 결제조건의 획기적 개선 △협력회사 통한 장비 및 부품소재 국산화 확대 △협력회사의 장기적 자생력 확보 지원 △‘LG 협력회사 ’상생고’ 신설이다.
LG는 이 같은 전략과제를 9월부터 본격 추진에 들어간다.
◆그린 신사업에 발굴 협력사와 함께=LG는 태양전지, LED,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스마트그리드, 헬스케어 등 LG의 그린 신사업 분야에 중소 협력사에게 참여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LG는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신사업분야 국책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또 LG의 그린 신사업 분야에서 우수 중소기업에 R&D용역을 지속적으로 발주하면서 중소기업이 연구개발에 활용하도록 2011년부터 5년간 1000억원 규모를 지원한다.
LG는 올 12월초에 LG기술협의회가 주관해 ‘LG SME(Small and Medium Enterprise) 테크놀로지 페어’를 개최, LG의 그린 신사업 분야에서 차세대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할 협력회사들을 선정할 방침이다.
![]() |
||
LG그룹의 상생 키워드는 '동반성장과 토양제공'이다. 사진은 LG트윈타워 본사 전경. |
◆7400억원 규모 금융지원=LG는 협력사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한다. 직접 자금지원은 물론이고 상생협력 펀드 조성, 결제조건 개선을 통해 1차뿐 아니라 2, 3차 협력회사까지 금융지원 범위를 넓힌다는 복안이다.
먼저 LG는 1차 협력회사 대상 무이자 직접대출 규모를 지난해 140억원 수준에서 올해는 700억원 수준으로 크게 늘렸다. 2, 3차 협력사에는 연간 2500억원 규모의 ‘LG상생협력펀드’를 조성해 저금리 대출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LG는 2, 3차 협력회사까지도 저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는 연간 2500억원 규모의 ‘LG 상생협력펀드’를 9월중에 신설할 계획이다.
이미 LG는 네트워크론, 패밀리론 등 3700억원 및 기타 혼합 공동펀드 등 500억원을 운용하고 있어, 협력사 대상 금융지원만 연간 7400억원 규모가 됐다.
◆협력사와 부품소재 국산화=LG는 협력회사와 공동 기술개발을 통해 LCD 및 LED 공정 장비, 배터리 소재 등의 국산화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협력회사가 수입 비중이 높은 장비와 부품소재를 국산화하게 되면 LG의 원가경쟁력도 높아지게 된다.
LG디스플레이의 경우 협력회사와의 공동 기술개발을 통해 LCD생산라인 장비 국산화 비율을 현재(8세대 라인) 60%대에서 차기 생산라인 건설시에는 80%대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
||
지난 6월 이영하 LG전자 HA사업본부장 등 LG전자 직원들이 협력업체인 '이코리아'를 방문해 협력회사 현장에서의 애로사항 및 고충 등을 들었다. 사진은 양사 직원들이 함께 기념떡 컷팅을 하고 있는 모습. |
◆협력사 글로벌 수준 성장 지원=LG는 협력회사 글로벌 수준의 업체로 성장하는 것을 지원할 방침이다.
우선 LG그룹의 교육시설인 경기도 이천 소재 LG인화원에 ‘협력회사 인재개발 센터’를 설립해 협력회사 후계자 대상의 경영교육 과정을 지원한다.
또 LG는 해외 동반진출 및 해외 바이어 연결 등으로 협력회사의 해외시장 판로 개척을 도와 협력회사의 매출 확대에도 기여하기로 했다.
LG는 이미 LG디스플레이와 LG화학 등이 중국 난징과 폴란드 브로츠와프 디스플레이 단지를 설립할 때 부품협력회사들과 동반진출 해 큰 성공을 거둔 바 있으며, 향후 이러한 모범 사례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협력사 고충처리…‘상생고’ 신설=LG가 새롭게 신설한 상생고는 협력회사의 고충을 듣는 온라인 창구이다. 지난 2003년부터 운영해온 사이버신문고의 확장판이다.
LG그룹 대표 홈페이지 및 각 계열사 홈페이지 초기화면에도 ‘LG 협력회사 상생고’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배너를 만들어 협력회사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LG는 ‘LG 협력회사 상생고’를 통해 협력회사의 고충사항 및 요청사항을 항상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일방적 단가 인하 등 우월적 지위의 남용을 억제해 나가기 위한 행보이다.
LG관계자는 “LG는 이번 상생협력 5대 전략과제 추진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부응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한 중소기업과의 장기적 협력 및 동반자적 관계를 형성해 상호 윈윈 할 수 있는 파트너십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lazyhand@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