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희준 기자) 행정안전부는 27일 16개 시.도 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제8차 지역일자리 창출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상반기 지자체 지역일자리 성과에 대해 점검하고, 하반기 과제인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등 Post-희망근로 사업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논의했다.
행안부는 이 자리에서 지난 상반기 지역일자리를 위해 244개 모든 자치단체장이 함께 '지역일자리 창출 활성화 방안'을 마련 '지역일자리 정책'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정립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Post-희망근로 사업 재원 약 6700억원 전액을 지자체 경비절감 등을 통해 마련하고 244개 모든 지자체에 일자리추진단 및 지역일자리 지원센터가 구성됐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노력으로 반기에는 희망근로를 통해 약 10만 명의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했고 약 12만7000명을 민간 일자리로 취업연계 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하반기 Post-희망근로 추진에 대해서 행안부는 취약계층을 위한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이 오는 12월까지 연간 5만 명 규모로 추진하고 '자립형 지역공동체사업'을 오는 9월부터 내년 2월까지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최근 청년실업률의 심각성을 해소하기 위해 청년 CEO 3200명을 육성하고, 창업공간을 확대하는 '청년창업 프로젝트'가 16개 시도별 200개 규모로 9월부터 시작된다.
안양호 행정안전부 제 2차관은 이 자리에서“상반기 희망근로사업의 철저한 마무리와 Post-희망근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달라”면서 “특히 청년실업률 해소를 위한 청년창업 등에 지자체에서 특단의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h9913@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