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해림 기자) 중국 증시가 주목을 받으면서 중국 정부 정책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은 주식시장도 정책이 좌지우지하기 때문이다.
중국 증시에 상장된 대부분이 국유기업으로 정부의 정책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29일 중국매일경제신문에 따르면 중국 상장 주식 가운데 70%는 국유기업이다. 지난 1990년 말 상하이증권거래소 설립으로 시작된 중국 증시에 상장하는 민영기업이 늘어나고는 있지만 여전히 국유기업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다.
박매화 한화증권 연구원은 “다른 나라와 달리 국유기업이 절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증시에서는 정부 정책의 입김이 작용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시노펙ㆍ페트로차이나 등 석유회사나 중국은행ㆍ건설은행 등 대형은행 같은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국유기업이라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상보는 “지난 2008년 국무원 상무회에서는 ‘중국 자본시장 성숙시간은 아직 길지 않아 정부는 효율을 높이고 좀더 안전한 자본시장 발전을 위한 장기적인 임무가 있다’고 말해 정부가 증시도 좌우할 것임을 시사했다”며 “본토 주식시장은 '중국 특색'이라는 명목 하에 정책 영향을 지나치게 받고 있어 ‘본토 주식시장은 정책 시장’이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라고 전했다.
중국 언론은 틈만 나면 정책 관련 뉴스를 전하고 있다. 출처는 모두 ‘중국 정부 관계자’나 ‘한 소식통’ 등으로 불분명하지만 중국증권보, 상해증권보 등 권위 있는 증권정보지에 인용돼 주식시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날 중국증권보는 ‘믿을만한 인민은행 정보통에 의하면 중국은행이 연내에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하기도 했다.
박매화 연구원은 “더블딥 우려가 확대되면서 세계의 시선이 중국시장으로 집중되고 있는데, 중국 증시를 보려면 정책의 움직임부터 살펴야 할 것”이라며 “지표나 실적, 해외 증시의 영향도 받지만 정책 영향이 가장 큰 것이 중국 증시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 정책과 지역개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신에너지 정책은 2020년까지 원자력, 풍력, 수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에 총 5억위안을 투자하는 정책이고, 지역개발 정책은 ‘서부대개발’ 정책을 필두로 지역 균형 개발에 투자하는 정책이다.
12xworld@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