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앞으로는 세입자가 한국주택금융공사에 전세자금 보증을 신청할 때 공인중개업소에서 작성하거나 공증된 임대차 계약서만 구비하면 임대차계약 사실확인서는 내지 않아도 된다.
국민권익위원회(ACRC)는 31일 전세자금 대출을 위한 보증신청과정에서 임대차계약 사실확인서를 내지 않도록 하는 전세자금 보증신청 절차 간소화 방안을 마련해 한국주택금융공사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2004년부터 시행 중인 '전세자금 보증제도'는 무주택 서민들이 별도의 담보나 연대보증 없이 은행에서 손쉽게 전세자금을 빌릴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제도로 전세자금 보증규모가 시행 첫 해 1조3054억에서 지난해 4조6757억으로 급증했다.
그러나 이 같은 절차가 임대차 계약서외에 집주인이 서명한 임대차계약 사실확인서를 요구하고 있어 임차인과 임대인 모두에게 불편을 초래, 보증제도의 실효성을 약화시켜왔다.
이에 권익위 공인중개업소에서 작성된 임대차 계약서나 공증된 임대차 계약서가 있으면 임대차 계약에 관한 사실확인을 동계약서 제출로 갈음하고, 공증된 임대차 계약서가 없는 경우에도 임대차 계약 사실확인서 제출은 폐지하기로 했다.
대출관련 기관이 방문 또는 우편 조사 등을 통해 사실확인을 하면 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개선안도 마련했다.
권익위 관계자는 "이번 제도개선이 수용되면 전세자금 보증대출을 이용하는 매년 20만명 이상의 전세세입자들이 불필요한 부담을 덜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shu@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