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와 과일의 생산자물가(도매물가) 상승률이 약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8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채소류와 과실류의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5.4%와 35.4%씩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채소류의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지난 2007년 10월(47.4%) 이후 2년10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과실류의 상승률도 같은 해 7월(37.4%) 이후 3년1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무가 180.8%로 2004년 8월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마늘(159.0%), 호박(153.7%), 상추(143.1%) 등 주요 채소 작물도 기록적인 상승률을 보였다.
한은 경제통계국 이병두 차장은 "비가 내리거나 흐린 날씨가 자주 반복되는 등 일기가 불순해 작황이 부진한 데다 상추 등 일부 품목은 휴가철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채소와 과일 물가의 급등으로 농림수산품의 생산자물가는 지난달에 작년 동월 대비 7.1% 올라 지난해 7월의 14.5% 이후 1년1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그러나 곡물(-11.4%), 수산식품(-7.4%), 축산물(-3.7%) 등의 생산자물가는 내렸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