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산 가스의 국내 도입 방식이 11월까지 결정된다. 현재로서는 수송선 방식이 유력해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 오는 11월까지 러시아산 가스도입 방식을 최종 결정키로 했다.
북한을 경유하는 송유관 방식보다는 수송선을 통해 액화천연가스(LNG)나 압축천연가스(CNG) 형태로 들여오는 해상운송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정책포럼 참석을 위해 방러중인 이 대통령은 이날 메드베데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G20 서울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와 에너지·자원, 극동 시베리아 개발 등 양국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양국은 지난 2008년 9월 정상회담에서 시베리아산 가스를 북한을 경유하는 송유관 방식(PNG)을 통해 국내에 도입하기로 했지만 북한과의 조율 문제로 최종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현재 잠정 합의된 도입 물량은 연간 200만t 가량으로 국내 연간 가스소비량의 8%에 달한다.
아울러 양국 정상은 군사기술과 기초응용 기술분야에서 협력을 증대하자는 데도 의견을 같이 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극동지역의 조선소 건설과 상트페테부르크 자동차 협력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한반도와 동북아를 포함한 국제정세에 대해서도 폭넓게 의견을 교환하고, 북한의 비핵화 진전과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협력하기로 하는 등 안보와 경제산업과 관련한 폭 넓은 의견을 나눴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