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영욱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후임 총리 인선을 놓고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안대희 대법관과 김황식 감사원장 등이 새 국무총리 후보로 지명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15일 알려졌다.
또 일각에선 이 대통령의 신임을 받고 있는 정운천 전 농림수산식품부 장관도 꾸준히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안 대법관과 김 감사원장 등이 이명박 대통령이 말하는 공정한 사회에 가장 적합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다"면서 "인사청문회를 무난히 통과할 정도로 자기 관리가 철저했던 인사"라고 전했다.
또 다른 여권 관계자는 "청와대가 검증서 작성 대신 일부 낙점이 유력한 인사들에 대해 평판을 알아보고 있다"며 "다만 김 원장은 부동시로 인한 병역면제가 걸림돌"이라고 말했다.
안 대법관은 경남 함안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 초기인 2003년 검찰 중수부장으로 대선자금 수사를 지휘했으며 2006년 국회 대법관 인사청문회 과정도 잡음 없이 통과했다.
김 원장은 앞서 국회 예결위 회의에 출석, 민주당 신학용 의원으로부터 "국무총리 인선에 대한 검증서를 작성한 적이 있느냐"는 질의를 받아 "작성한 적이 없다"고 단언했으나 청와대가 최근 검증서와는 별개로 청와대가 평판을 조회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아직 이 대통령은 안 대법관과 김 원장 등을 국무총리 후보로 선정할 지에 대해서는 고심을 하고 있으며 이르면 이번 주 후반 유력 후보자 1명을 선정해 '모의청문회'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그동안 하마평이 흘러나왔던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이나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등은 총리인사에서 배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맹 장관이 유력하게 검토됐지만 장관재임 4개월밖에 안 돼 ‘회전문 인사’로 비쳐질 수 있어 배제된 것 같다"고 말했다.
정가 일각에선 임태희 대통령실장이 직접 나서 현재까지 언론에 하마평이 거론되지 않았던 '제3의 후보'를 접촉했으나 고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대통령은 14일에도 오전 국무회의만 주재한 뒤 다른 공식 일정을 잡지 않고 후임 총리 인선을 위한 구상에 몰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대통령과 청와대는 총리를 추석 이전에 임명한다는 계획에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추석을 넘겨 후임 총리를 임명할 경우 국정 공백이 너무 길어지고 후임 외교장관 인선까지 연쇄적으로 지체돼 오는 11월 열리는 G20 정상회의 준비에도 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막바지 인선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만간 2~3배수로 유력 후보를 압축해 '모의 인사청문회'를 가진 뒤 주 후반께 총리 후보자를 지명할 방침이다.
kyw@ajnews.co.kr[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