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일선에서 물러나고 섭정세력이 들어서게 되면, 한국과 미국 등 나머지 6자회담 당사국들은 적절한 시점에 섭정세력과 일종의 '그랜드 바긴(일괄타결)'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리처드 부시 브루킹스연구소 동북아정책연구실장은 지난주 펴낸 '핵을 지닌 북한의 도전, 어두운 그림자 속의 한줄기 희망'이라는 보고서에서 '포스트-김정일' 의 권력구조는 삼남 김정은의 일인독재가 아니라 섭정형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토대로 이같이 제안했다.
부시 실장은 "북한의 후계구도와 관련해 한가지 분명해 보이는 것은 권력형태가 달라질 것이라는 점"이라며 "한국전쟁 이후 일관되게 유지돼 왔던 일인독재는 계속되지 않고 섭정이 들어설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