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서울 지역 아파트의 월평균 관리비가 ㎡당 716원으로, 전용면적 85㎡로 환산하면 6만86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을 제외한 광역시 중에는 대전이, 도 지역에서는 강원도의 관리비가 가장 높다.
24일 국토해양부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net)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부과된 서울지역의 ㎡당 월평균 아파트 관리비는 일반관리비 323원, 청소비 228원, 경비비 87원, 소독비 8원, 승강기 유지비 20원, 수선유지비 50원을 합쳐 716원이다.
85㎡ 아파트에 사는 입주자라면 평균 6만860원을 낸 셈이다.
국토부는 지난해 10월 주택법에 관리비 공개제도를 도입해 150가구 이상 아파트 단지는 공동관리비인 이들 6개 항목을 ㎡당 단가(원/㎡)로 매달 공개하도록 했다.
경기도는 ㎡당 614원으로 서울보다 102원 낮았다. 85㎡로 바꾸면 5만2190원으로 서울보다 8000원 이상 적은 것이다.
인천은 ㎡당 597원이어서 85㎡를 기준으로 한 관리비가 서울보다 2만원 이상 낮은 5만745원으로 분석됐다.
㎡당 관리비를 보면 광역시의 경우 대전(581원), 부산(566원), 울산(551원), 대구(528원), 광주(446원) 순으로 높았다. 도 지역에선 강원(600원), 충남(576원), 충북(569원), 경북(539원), 제주(526원) 경남(513원), 전북(504원), 전남(499원) 순이었다.
한편 내달 6일부터 아파트 관리비의 인터넷 공개 항목이 전기료, 수도료, 가스사용료, 난방비 등 17개를 새로 포함해 23개로 늘어난다.
또 지하시설 임대 등에 따른 각종 잡수입과 아파트 입주민의 원성을 자주 일으키는 위탁관리 수수료 외에 입주자 대표회의 운영비, 장기수선충당금 적립 요율 및 사용금액까지 투명하게 밝히도록 했다. 공개 대상은 분양주택뿐 아니라 새 임대주택도 포함된다.
jsy@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