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소영 기자) 중국과 일본의 관계가 겉잡을 수 없이 악화되고 있다. 댜오위다오 영토권을 둘러싸고 촉발된 일련의 사태에 대해, 중국 내 반일감정은 극에 달했고, 정부차원의 대일 ‘보복’ 조치도 급격히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일본이 19일 선장 잔치슝(詹其雄)씨에 대해 10일간 추가 억류를 결정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취하자 중국은 외교,산업,경제,관광 등 전 영역에 걸쳐 일본을 압박하는 ‘초강수’를 두고 있다.
중국은 일본과의 대화 사절을 표명하고, 공개적인 일본 비난에 나서고 있다. 또한 다이빙궈(戴秉國) 국무위원 등 외교관련 지도층은 수차례에 걸쳐 니와 우이치로(丹羽宇一郞) 주중 일본대사를 불러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경제적 수단으로 일본의 ‘목줄’ 죄기에 나섰다. 사실상 중국이 전세계 생산량을 담당하고 있는 희토류의 수출 금지 조치 움직임을 보이는 가 하면, 중국인의 일본 여행도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일본에 1만 여명의 직원을 일본여행 보내려 했던 중국의 유명 건강용품 제조업체인 바오젠(寶健)사가 돌연 계획을 취소했다.
뿐만 아니라 24일에는 일본인 4명이 중국의 군사시설 보호에 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중국에 억류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1일에는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가 자동차 판매 장려를 위해 리베이트를 준 도요타자동차 금융 중국법인에 뇌물혐의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항저우시는 정당한 법률에 근거한 합법한 조치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중국의 대일 보복의 일환이라는 것이 지배적 견해다.
특히 일본을 긴장시키고 있는 것은 중국의 일본 국채 매입 가능성이다. 풍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중국이 일본 국채를 매입할 경우 엔고 현상을 부채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초강수로 일관했던 중국이 곧 수위 ‘조절’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댜오위다오 문제가 단시간 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닌데다, 동북아의 강국인 일본과 장기적으로 대립각을 세워봤자 결국 중국도 이로울 것이 없기 때문이다.
haojizh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