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국민' '교포' '동포' 구분해야"

한국 정부는 해외에 거주하는 한인들을 막연히 `재외동포'라고 규정하지 말고 재외국민과 교포, 재외동포로 나눠 각각에 걸맞은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황유복 중국 베이징중앙민족대 교수는 4일 오후 서울 쉐라톤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재외한인학회 주관으로 열린 '제4회 세계한인의 날' 기념 재외동포정책 세미나에서 `재외동포 차세대의 한국어 및 국문화 교육 발전방안' 주제 발표를 통해 이렇게 밝혔다.

그는 "해외 거주 한인을 싸잡아 재외동포라고 부르는 것은 크기와 색상, 재질을 구분하지 않고 구슬을 손에 잡히는 대로 꿰는 격"이라며 "이렇게 되면 한국의 재외동포 정책은 영원히 없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황 교수는 따라서 다른 나라에서 한시적으로 거주하는 한국인은 `재외국민', 거주국에서 영주권을 취득한 경우는 `재외교포',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거주국의 시민권을 취득한 경우는 `재외동포'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정부가 `재외동포 참정권'이란 말을 쓰면서 재외국민과 교포에게만 투표권을 주고 거주국 시민권자는 제외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외국에서 시민권을 취득한 동포들을 `재외동포'에서 배제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재외국민과 재외교포는 한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재외한인'이지만 외국 시민권을 얻은 재외동포는 외국인으로 구분해야 하며, 재외한인과 외국 시민권자를 하나의 개념으로 묶으려면 `재외겨레'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교수는 "재외동포는 외국인이라는 점을 고려해 이들이 시민권을 부여한 나라에 충실하고 그 사회의 주류에 진출하도록 힘쓰되 이들의 차세대가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계속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 교수는 이어 "조선족은 중국 56개 민족 가운데 교육문화 수준이 최고이며 통일된 민족종교가 없지만 민족문화를 보전함으로써 한족에 동화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었다"면서 "민족문화의 발달은 민족교육의 결과"라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는 교육문화, 경제, 정치 등 3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됐으며 1세션에서는 황 교수 외에 임채완 전남대 교수가 `재외동포 차세대 모국 수학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