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각종 수수료인하 압박에 노심초사

(아주경제 방영덕 기자) 연일 쏟아지는 카드수수료 인하요구로 카드업계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특히 지난 11일 진동수 금융위원장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자리에서 카드수수료 인하 검토 발언을 함에 따라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진 위원장은 이 날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범위를 늘리고 체크카드 수수료율 인하 문제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더 이상의 가맹점 수수료 인하는 어렵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목소리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율을 인하한지 6개월밖에 되지 않았는데 또 내리라니 당혹스럽다"며 "금융당국과 사전에 논의한 바 없는 내용"이라고 전했다.

카드업계는 지난 4월 2008년 7월~2009년 6월 기간의 연 매출액이 9600만원 미만인 재래시장 가맹점은 1.6~1.8%로, 중소가맹점은 2.0~2.15%로 수수료율을 각각 인하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범위가 넓지 않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카드사 관계자는 "재래시장 등은 카드보다는 현금이 더 많이 거래되는 곳이어서 실제 혜택을 보는 가맹점의 연매출은 9600만원 이상일 수 있다"며 "금융당국 정책엔 이 같은 현실이 반영되지 않은 측면이 크다"고 주장했다.

카드업계는 이미 네 차례 가맹점 수수료율을 내렸다. 따라서 향후 수수료 인하 압박이 가해질 경우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등 대출을 늘려 수익을 얻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박리다매'식으로 이뤄지는 가맹점 수수료 수익은 현재 제로 상태에 가깝다"면서 "이런 수익 구조에서 카드사는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등 대출을 늘려 수수료의 수익을 낼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전했다.
 
체크카드 수수료율 인하 문제도 전업계와 은행 겸영 카드사간 입장이 달라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현재 은행겸영 카드사의 경우 체크카드 발급시 같은 은행 계좌를 이용할 수 있는 반면 전업계는 0.5%의 수수료를 내고 은행 계좌를 이용하고 있다.

전업계 카드사 한 관계자는 "보통 체크카드 수수료는 1.5%가량인데 이중 3분의 1인 0.5%를 은행 쪽 수수료로 내야하는 입장에서 더 이상 인하하기는 힘들다"며 "기업입장에서 '마이너스 장사'를 할 순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sommoyd@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