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지난 봄 그리스에서 촉발돼 유럽을 뒤흔들고 있는 재정위기가 곧 일본을 거쳐 미국으로 확산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니얼 퍼거슨 미 하버드대 교수는 13일(현지시간) 경제 전문 채널 CNBC의 대담 프로그램 '스쿼크박스'에 나와 "유럽의 공공부채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재정위기는 결국 일본과 미국으로 전이돼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공공부채의 폭발적인 증가가 물가상승을 야기하거나 국가부도(디폴트) 사태로 번질수 있다고 경고했다. 돈을 찍어내듯 자국 통화로 빚을 얻으면 통화가치가 떨어져 물가가 오르고 다른 국가의 통화로 빚을 쌓다가는 채무불이행 사태에 휘말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퍼거슨 교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ㆍFed)가 시행하려고 하는 2차 양적완화정책도 반대했다. 미 국채를 비롯한 자산을 매입해 시중에 자금을 풀어봐야 유동성이 해외로 유출돼 미 경제에 득이 될 게 없다는 지적이다.
그는 "(양적완화를 통해 공급되는) 자금은 결국 일자리 창출 등 당초 의도한 목적 외로 흘러나가 국제 원자재 가격을 끌어올리는 등 예기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공개된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연준 이사들은 곧 추가 양적완화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퍼거슨 교수는 또 미국도 위안화 약세에 따른 혜택을 보고 있다며 미 정부가 중국의 환율 정책을 비난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과 중국은 서로 이익이 되는 정책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달러화 가치가 떨어질수록 위안화 환율은 어느 정도 미 달러화 움직임에 고정되게 돼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6월 위안화 가치를 달러화에 고정시키는 달러 페그제를 포기하겠다고 선언했다.
퍼거슨 교수는 다만 이 과정에서 다른 국가의 통화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띠게 돼 한국과 브라질 등은 최근 통화 강세로 상당한 고통을 겪었다고 덧붙였다.
raskol@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