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고득관 기자) 저축은행중앙회는 18일 부실저축은행이 타 부실저축은행을 주당 1원에 인수했다는 보도에 대해 해당 저축은행이 자본잠식 상황이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저축은행이 부실저축은행을 인수하는 것은 조기에 정상화시켜 더 이상의 부실을 방지하여 고객 피해 및 공적자금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라며 "부산2저축은행이 고려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을 주당 1원에 인수한 이유는 해당 저축은행의 자본잠식에 따른 순자산가치가 (-)마이너스로서 주권에 대한 가치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상 저축은행의 경우 자본금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 매각가가 결정된다.
또 저축은행중앙회는 부산저축은행이 고려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을 인수할 당시에는 279억원의 당기 순이익을 거뒀으므로 부실 저축은행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부실저축은행을 인수하지 않을 경우 부실이 커져 실제로 공적자금이 투입되고 거래자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인수 당시 고려저축은행과 한일저축은행에 대해서는 공적자금이 투입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dk@ajnews.co.kr[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