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1월4일 민주당 버락 오바마 대통령후보는 미 대선역사상 가장 많은 표를 얻어 사상 첫 흑인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그로부터 2년이 지난 2010년 11월2일 오바마 대통령이 이끄는 민주당은 중간선거에서 패배했다.
지난 2년동안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길래 민심이 오바마 대통령에게 등을 돌렸을까.
물론 대통령 임기중 실시되는 미국 중간선거는 현직 대통령이 속한 집권당이 대부분 패배하는 역사를 되풀이해왔다.
20세기 들어 집권당이 중간선거에서 하원에서 승리한 사례는 딱 두 차례 있을 뿐이었다.
대공황 극복을 위해 뉴딜 정책을 시행했던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때인 1934년 중간선거와 9.11 테러직후 정부.여당을 중심으로 한 단결이 호소되던 조지 부시 대통령때인 2002년 중간선거이다.
이처럼 미국 국민들은 전통적으로 권력 독점을 원치 않아 `분점정부'(Divided Government)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왔고, 이번 중간선거에서도 집권당인 민주당의 독주를 견제하겠다는 의지를 표를 통해 드러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총론적인 선거결과 분석에서 나아가 각론으로 들어가면 경제살리기, 일자리 창출 기대가 충족되지 못했고, 오바마 스타일 개혁에 대한 실망감이 표출된 결과이다.
퓨 리서치 센터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미국민은 "중간선거에서 의회에 대한 찬반을 대통령에 대한 찬반투표로 생각하고 찍는다"고 답변했다.
중간선거를 오바마 대통령에 대한 중간평가로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론조사기관인 조그비 인터내셔날 대표 존 조그비는 "2008년 오바마 대통령을 선택한 유권자들의 기대는 변화였다"며 "하지만 문제는 변화의 노선에 대해서는 동의가 없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조그비는 "예산, 세금, 환경, 사회보장, 경제 문제 등 구체적 이슈에서 국민들의 생각은 달랐다"며 오바마 대통령이 구체적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변화에 대한 유권자들의 높은 기대치를 모두 담아내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선거는 과거 부시 행정부때 2006년 선거때처럼 이라크전쟁 등과 같은 외교정책은 이슈로 부상하지도 않았고, 경기침체와 고실업, 정부재정 등 경제문제가 핵심 쟁점이었다.
하지만 오바마 대통령의 업적으로도 평가될 수 있는 경제를 살리기 위한 8천억달러의 경기부양책이나 건강보험개혁 입법은 유권자들에게 `당파적 프로그램'으로 인식되면서 외면을 받았다.
경기부양조치의 체감도가 확산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바마 대통령과 민주당의 "경제살리기를 위해 한번 더 기회를 달라"는 당부는 먹혀들지 않았다.
전통적인 제조업 중심지로 경제위기의 충격을 직접 받았고 되살아나지 않는 경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시간, 인디애나, 오하이오, 위스콘신 등 미 중서부(Midwest) 지역의 선거결과는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한다.
2006년 중간선거때 민주당을 밀었고 2008년 대선때 오바마를 지원했던 중서부 지역은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에 '킬링필드'(killing-field)였다.
민주당으로부터의 민심 이탈은 유권자들의 경제적 절망감의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민주당의 에드 렌들 펜실베이니아 주지사는 지난달 31일 방송 대담에서 "오바마 행정부가 경기부양책·건강보험개혁 등 훌륭한 일을 했으나 국민과 소통하는 일을 엉터리로 했다"며 당내에서조차 '여론전쟁의 패배', 소통의 실패를 패인으로 꼽았다.
이번 선거는 경제상황에 대한 여론의 인식이 좋지 않은 것은 물론 오바마 행정부 들어 워싱턴 중앙정치무대에서 양당의 당파적 투쟁이 격화된데다, 보수주의 유권자 운동인 '티파티'(tea party) 영향력이 위력을 발휘하는 상황에서 치러졌다.
다양한 변수들이 선거판의 틀을 규정했지만, 이 같은 변수들은 오바마 대통령과 민주당에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오바마 대통령 당선때 높은 투표율로 주요한 힘이 되었던 젊은 층, 히스패닉, 흑인 등의 투표율이 대선때에 비해 낮았던 점도 민주당에 마이너스 요인이었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