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고득관 기자) 러시앤캐시의 중앙부산저축은행 인수가 가시화되고 있다.
구체적인 협상 내용에서는 다소 삐걱대는 모습이다. 하지만 금융당국에 주식 인수 취득 신청을 내는 등 인수·합병이 한발씩 전진하고 있다.
문제는 여론이다. 고리대금업이라는 비난을 받는 대부업체, 그 중에서도 국내 1위의 대부업체가 부실채권에 휘청대는 제도권 금융기관을 먹어 삼킨다는 데 곱지 않은 시각을 보내는 이들이 적지 않다.
특히나 러시앤캐시가 노리는 저축은행이 시골 구석에 있는 초라한 곳도 아니다. 자산이 1조원이 넘는 대형 저축은행이다. 한때는 서울권역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고금리를 주면서 수신을 긁어모았던 저축은행이다. 이런 곳을 대부업체가 인수한다는 것을 안타까운 심정으로 바라보는 저축은행권 관계자들도 적지 않다.
결국 핵심은 대부업체를 어떻게 볼 것이냐에 있다.
대부업체를 이 사회에서 몰아내야 할 존재로 파악하는 이들이라면 대부업체가 저축은행 인수를 통해 더더욱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상상하기 싫을 것이다.
하지만 조금만 더 들여다보면 대부업체들도 다 존재의 의미가 있다. 금융환경과 각 금융업권별 여신 영업 포트폴리오가 어떻게 변화하든 그 말단에는 대부업체와 같은 형태의 소비자금융회사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다만 그 높은 금리를 어떻게 내리느냐가 관건이다. 그런 정책적 취지에서 대부업체가 저축은행이나 캐피탈을 통한 기존의 높은 차입 비용을 수신 영업을 통해 낮추는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다.
최종적인 여론의 흐름은 저축은행 인수 이후에 판가름날 것이다. 대부업체의 저축은행 인수가 대부업체에게 폭리를 주는 정책이 될 것이냐 아니면 대부업체의 고금리를 낮추는 계기가 될 것이냐는 바로 해당 대부업체의 몫이다.
금융당국도 이 부분에 신경을 많이 써야 될 듯하다. 아마도 가장 긴장을 하고 있는 것은 금융당국이 아닐까 한다. 비난의 화살이 대부업체보다 인가를 내준 금융당국에게 쏠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좀더 밀착되고 엄격한 관리 감독이 필요한 이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