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전신스캐너, 건강에 유해"

미국 공항들에 설치된 전신 스캐너가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뿐 아니라 건강에도 해로울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생물물리화학과에서 X레이 실험실을 운영하는 마이클 러브 박사는 12일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전신 스캐너가 투사하는 X레이가 피부암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러브 박사는 사람들은 X레이가 인체에 해롭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지만 공항에서는 비행기에 탑승하려는 마음에 X레이에 노출되는 상황을 쉽게 감수하려고 한다고 지적했다.

전신 스캐너가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UCSF) 과학자들은 지난 4월 전신 스캐너에서 발산되는 X레이가 "잠재적으로 심각한 건강상의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하는 서한을 백악관에 보낸 바 있다.

이들 과학자들은 전신 스캐너의 X레이가 65세 이상의 노인이나 임산부 및 태아, 암환자, HIV 양성 반응 환자 등에 위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전신 스캐너가 미국 정부의 폭넓은 테스트를 받았으며 안전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명됐다고 최근 밝혔다.

그러나 항공기조종사협회(APA)가 프라이버시 침해와 건강상의 위험을 이유로 조종사들은 전신 스캐너 검색에서 예외가 돼야 한다고 권고한 사실이 최근 드러난 데서 보듯 전신 스캐너의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하다.

미 연방교통안전청(TSA)은 2007년부터 미국 공항들에 전신 스캐너를 설치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미국 65개 공항에서 약 315대의 전신 스캐너가 운영되고 있다.

비행기 승객이나 승무원 등은 무작위로 선별돼 전신 스캐너 검색을 받도록 돼 있으며 이를 거부할 경우 검색요원으로부터 보다 강도 높은 검색을 받아야 한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