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배추와 파, 토마토, 무는 100% 이상 폭등해 서민 장바구니에 적지 않은 부담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11월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37.4% 상승했다. 10월에 49.4% 올랐던 것에 비해서는 수급이 개선되면서 전월 대비로는 11.3% 하락했다.
그러나 작년에 견주어볼 때 주요 채소와 생선 가격의 폭등세는 여전했다.
배추와 파는 11월에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0.8%와 113.9%나 올랐으며 토마토(104.2%)와 무(178.9%)도 급등했다.
마늘(97.3%), 귤(41.4%), 사과(30.6%), 배(43.6%), 오징어(48.6%), 고등어(39.0%), 열무(73.0%) 등의 가격 상승세도 컸다.
통계청측은 "신선식품 물가가 여전히 높기는 하지만 지난달보다는 진정되는 모습"이라면서 "10월에 배추 등 신선식품 물가가 많이 오른 영향이 11월에도 일정 부분 미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11월 전체 소비자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3.3% 상승해 한 달 만에 3%대로 복귀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