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총선에서 떨어진 뒤 미국 유학길에 올라 한동안 정치적 칩거 기간을 보냈던 이 장관은 국민권익위원장을 거쳐 `나홀로' 선거 운동을 벌인 7.28 재보선을 통해 화려하게 부활했다.
여의도 복귀 11일 만에 특임장관에 전격 발탁된 그는 그동안 소통과 화합의 가교 역할을 자임하며 이명박 정부의 집권 후반기 국정 과제인 공정 사회 구현의 전도사로 활동해 왔다.
취임 초 이 장관은 정권 재창출을 위한 기반 마련을 위해서는 한나라당내 고질적인 계파갈등의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는 판단 아래 '여의포럼'을 비롯한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과 활발히 접촉했다.
특히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서는 여권과 무한 대치를 거듭해온 야당과의 긴밀한 소통, 협의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현정부 들어 처음으로 `야-정(野-政)협의'를 여는데 일조하는 한편 수시로 각당 대표단과 상임위원장단을 만나 국정 현안을 논의, 정부와 의회간 협력의 틀을 구축했다는 평가다.
정부 중점법안 추진을 총괄 관리하면서 장.차관에게 `마부위침(磨斧爲針.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의 헌신적 자세를 독려하고 국회 업무보고시 장관이 직접 책임있게 보고하도록 하는 등 사실상 내각의 `군기반장' 역할을 자임했다.
또 그는 "현장에 답이 있다"는 평소의 소신대로 매일 아침 지하철로 출근하고, 2∼3일에 1번꼴로 부동산 중개업소와 서대문장애인복지관, 연탄공장, 용산 쪽방촌, 가출청소년 쉼터 등 민생현장 곳곳을 누비며 여론을 청취했다.
이 장관은 앞으로도 각 주무 부처의 손길이 닿지 않는 소외된 곳을 방문하는 등 친서민.현장 행보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 장관은 각종 강연 등을 통해 "부패가 선진국으로 가는 길목에 누워 있다" "청렴하지 않으면 공정한 사회가 될 수 없고 선진국으로 갈 수 없다"며 현정부가 내세운 공정 사회 구현을 위한 전도사 역할에 매진했다.
특히 그는 "선진국으로 가고 부패를 없애고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을 이루려면 나라의 체질을 바꿔야 한다"고 누차 강조하며 개헌을 위한 논의의 장을 구축하는데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장관은 지난달 20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여의도만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하다"며 "정치는 분명 지력(地力)을 다한 것 같다. 이젠 객토(客土)를 해야 할 것 같다"며 개헌 추진의지를 감추지 않았다.
이 장관은 국민의 손으로 직접 뽑힌 대통령이 국방과 외교, 통일 등의 외치를 담당하고 국회가 구성한 내각이 내치를 맡는 분권형 대통령제로의 개헌을 수차례 주장해왔다.
하지만 제1야당인 민주당의 손학규 대표가 개헌에 공개적으로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는데다 여권의 유력한 차기주자로 꼽히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개헌에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이 장관이 그리고 있는 '개헌론'이 정치권에서 본격 공론화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또 북한의 연평도 무력도발로 인해 정국의 논점이 대북.안보문제로 흘러가고 있는 현상황도 개헌 공론화의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