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호주의 과세정책에도 올해 사모펀드의 호주투자금은 52억 달러를 기록해 지난해보다 8배나 증가했다. 호주행 외국자본이 3년만에 처음으로 늘어난 것이다.
호주 정부가 외국계 사모펀드의 인수거래에 대해 과징금을 징수하던 일년 전 업계분위기와 비교하면 상전벽해다.
호주 국세청은 일년 전 세계 최대 사모펀드인 TPG가 호주 백화점업체인 마이어그룹에 대한 기업공개(IPO)과정에서 이익을 빼돌렸다는 혐의로 6억2000만 달러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TPG가 매각 과정 이익금을 세금으로 지불하지 않고 네덜란드와 룩셈부르크, 케이맨 군도 등 회사 네트워크를 통해 조세 회피지역을 통해 돈세탁을 했다는 이유에서다.
이러한 해외자본의 ‘먹튀’논란에 호주정부는 지난해 12월 사모펀드가 자산을 매각해 얻은 수익에 대해 소득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사모펀드 업계는 대규모 자금이탈이 발생할 것이라며 호주의 과세정책에 대해 강하게 항의했다.
하지만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원자재 수요 급증으로 천연자원이 풍부한 호주가 견고한 성장세를 보이자 사모펀드들은 올해 오히려 투자를 늘렸다.
일례로 세계 2대 사모펀드로 꼽히는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은 지난 10월 호주 펀드운용업체인 퍼페추얼을 사들이기 위해 17억5000만 호주달러로 인수가를 제안했다. 미국계 사모펀드인 칼라일그룹도 7월 호주의 헬스스콥을 27억 호주달러에 인수했다.
외국 자본의 호주행이 봇물을 이룬 데는 아시아가 초고속 성장을 기록하면서 호주도 풍부한 원자재를 기반으로 평균 2.7% 성장하는 등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WSJ은 분석했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의 석탄, 철광석 등 원자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호주는 산업화 수준이 유사한 경쟁국에 비해 성장할 가능성이 더욱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이에 사모펀드들 역시 호주경제의 잠재적인 성장력을 고려해 호주기업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면 세금도 용인하겠다는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외국자본에 대한 과세정책으로 호주 수도인 시드니를 금융허브로 키우겠다는 정부의 계획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호주의 사모펀드앤벤처캐피탈연합의 캐서린 우드스롭 대표는 “호주의 사모펀드는 투자자들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자 노력 중이지만 정부가 과세정책을 철회할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투자자들이 많다”며 “이들은 호주투자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