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여권 관계자 등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전날 지식경제부 등으로부터 내년도 업무추진계획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내년 예산엔 서민복지 예산도 최대한 반영했고, (일부 실수가 있었지만) 전체적으론 문제가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엔 국회의 예산안 처리과정에서 템플스테이 지원 사업 등의 일부 예산이 누락된 것은 인정하지만, 현재 민주당 등 야당이 요구하는 ‘예산 무효화’나 ‘형님예산’ 등의 주장은 과도하다는 인식이 깔려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앞서 기자들과 만나 내년 정부 예산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의 지역구(포항) 관련 예산이 정부 안보다 증액된 점을 두고 민주당 등 야당이 ‘형님예산’ 등의 공세를 펴고 있는데 대해 “(포항의) ‘ㅍ’자만 나와도 다 (이 전 부의장과) 연결하는데, 이전 정권에서부터 시작된 계속사업에 대해서까지 그렇게 공격하는 건 상식을 벗어난 일이다”며 “금도를 벗어난 저급 정치다”고 야당을 직격했다.
또 이종구 한나라당 정책위 부의장 등 당 소속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계수조정소위원들도 이날 별도의 간담회를 열어 “민주당도 챙길 예산은 다 챙겼다. 민주당이 주장하는 서민예산 삭감은 악의적인 왜곡선전이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전현희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16일 “예산이 ‘날치기’로 통과됐는데도 문제가 없다는 대통령의 인식 자체가 문제다”고 지적했으며, 강상구 진보신당 대변인도 “아이들과 아이를 둔 부모, 노동자, 노인, 장애인 등 사회 모든 부문 각계각층의 국민을 희생양 삼아 만든 이번 예산에 대해 대통령부터 정부, 한나라당까지 어느 누구도 책임질 생각이 없다는 점이 대통령 발언을 통해 확인됐다”고 거듭 비판하는 등 대여(對與) 공세를 한층 더 강화하는 모양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