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국민은행 주택 가격 동향 따르면 올 들어 이날까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평균 2.5% 올랐다. 이중 서울은 강북 14개구와 강남 11개구가 각각 2.7%, 1.8% 떨어져 평균 2.2% 하락했다. 경기지역은 3.4%, 인천은 2.8% 내렸다
6개 광역시는 평균 6.4% 올랐고 이 중 부산의 상승폭(16.2%)이 가장 컸다. 다음으로 대전(9.2%), 울산(4%), 광주(3.5%), 대구(1.9) 순이었다.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다른 지방은 7.8%나 올랐다.
기초 지자체 중에서는 부산 사상구와 김해 두 곳이 각각 25.3%, 23.1% 올라 전국에서 1, 2위를 차지했다. 두 지역을 잇는 경전철(내년 4월 개통)개통과 녹산국가산업단지 조성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 낙동강변 화명지구 조성, 거가대교 및 구포대교 개통, 화명대교 완공(2011년 예정) 등의 호재로 부산 북구가 20.5%, 부산신항 준공과 을숙도 대교 개통, 부산지하철 1호선 2단계(다대선) 착공 등의 영향으로 부산 사하구가 20.1% 뛰었다.
이어 창원(19.2%), 전주 덕진구(18.2%), 부산 진구(17.5%), 진해(17.4%), 부산 남구(17.1%), 전주 완산구(16%)가 10위권 안의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경기 일산 서구는 가장 큰 하락률(8.4%)을 기록했다. 이어 양주(-7.1%), 과천(-7.1%), 일산 동구(-6.8%), 파주(-6.3%), 의정부(-6%), 경기 광주(-5.8%), 김포(-5.7%), 서울 도봉구(-5.2%), 고양 덕양구(-5.1%) 순이었다.
서울에서는 25개 자치구 중 서초구가 유일하게 0.4% 올랐다. 한강변 유도정비구역 종합계획이 발표되며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중 하락률이 낮은 곳은 중랑(-0.1%), 중구(-0.3%), 종로(-0.4%), 동대문(-0.6%), 광진(-0.6%), 동작(-0.7%), 강동(-0.8%) 등이었다. 도봉구는 5.2% 하락해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이 밖에 노원(-4.5%), 은평(-4.3%), 강서(-3.5%), 금천(-3.2%), 양천(-3%), 강북(-2.6%), 성북(-2.6%), 영등포(-2.4%), 용산(-2.3%)이 평균보다 많이 내렸다.
전셋값은 전국적으로 평균 8.7% 올랐다.
이는 매매시장이 얼어붙으며 가격 하락을 좀 더 기다리겠다는 주택매매 대기수요가 전세로 갈아탔고, 2008년 말 금융위기로 하락했던 전셋값이 재계약 시점에 원래 시세로 돌아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이 7.1%(강북 5.6%, 강남 8.4%), 경기는 7.1%, 인천은 6.5% 올랐다. 6개 광역시는 평균 10.7% 상승했고, 이 중 부산(18.3%)과 대전(17.4%)의 오름폭이 컸다. 평균 이하 상승률을 보인 곳은 대구(6.1%), 광주(2.7%), 울산(6.4%)이었고 기타 지방의 상승률은 9.1%였다.
시군구 단위에서는 부산 해운대구가 25.3%였고 김해(24.4%), 부산 북구(23.8%), 진해(23.5%), 계룡(22.4%), 부산 진구(21.2%), 부산 사상구(21.1%), 대전 유성구(20.8%), 대전 서구(19.3%), 창원(18.2%)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반면 일산 서구의 전셋값이 3% 하락했고, 파주(-2.1%), 일산 동구(-0.6%), 서울 은평구(-0.5%), 양주(-0.1%)의 전셋값이 떨어졌다.
서울에서는 가장 오름폭이 큰 곳은 송파구(11.4%)였고 영등포(10.8%), 성동(10.1%), 강남(10%), 강동(9.9%), 광진(9.3%), 용산(8.6%), 구로(8.5%), 서초(7.9%), 동작(7.7%), 강서(7.3%) 등도 평균(7.1%) 이상 올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